Persona/Guardian

육친론(六親論), 사주명리학의 기본 원리와 육친 관계

코덱스 라이브러리 2024. 11. 16. 09:02

 

 

1. 육친론의 정의와 개요

육친론은 사주명리학에서 인간관계와 가족 구성원을 해석하는 이론으로, 사주의 오행과 십성을 기반으로 부모, 형제, 배우자, 자녀와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이는 개인의 인생 경로에서 중요한 인간관계와 그 영향력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육친의 기본 원리

부모와의 관계

  • 부친(父): 편재(偏財)
  • 모친(母): 정인(正印)

형제자매

  • 형제: 비견(比肩), 겁재(劫財)
    • 양간: 형(兄)
    • 음간: 동생(弟)

배우자

  • 남편(男命): 정관(正官) - 정식 배우자, 편관(偏官) - 애정관계
  • 아내(女命): 정재(正財) - 정식 배우자, 편재(偏財) - 첩이나 애인

자녀

  • 남자(父): 관성이 자식을 나타냄
    • 양간: 아들
    • 음간: 딸
  • 여자(母): 식상이 자식을 나타냄
    • 양간: 아들
    • 음간: 딸

 

3. 육친의 위치와 의미

사주의 4주(四柱)에서 육친의 위치

  • 연주(年柱): 조상, 가문
  • 월주(月柱): 부모, 형제자매
  • 일주(日柱): 본인, 배우자
  • 시주(時柱): 자녀

 

4. 배우자와 자녀 관계

배우자 관계

정재와 편재의 관계

  • 정재는 정식 배우자를, 편재는 첩이나 애정을 나타냅니다.
  • 일지나 월지에 재성이 있으면 배우자의 재물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재성이 강하고 신왕하면 배우자와 화목한 관계를 유지합니다.

배우자궁의 손상 요소

  • 양인이 많으면 처궁(妻宮)이 손상됩니다.
  • 재성이 약하거나 일지 공망이 되면 배우자와의 관계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자녀와의 관계

관성과 식상의 작용

  • 정관은 딸, 편관은 아들을 나타냅니다.
  • 관성이 시주에서 생왕하면 자식복이 많습니다.
  • 상관과 편인이 강하면 자식이 없거나 자녀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습니다.

자녀 복과 상징

  • 관성이 길신과 만나면 자녀가 부귀한 삶을 살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자녀궁이 묘고(墓庫)에 들면 자식과의 연이 적습니다.

 

5. 부모와 조상

부모의 역할과 영향

  • 월령의 인수가 강하면 부모의 음덕을 많이 받습니다.
  • 정재가 월령에 있으면 부친이 강한 영향력을 가집니다.

조상의 음덕

  • 연지에 인수가 있으면 조상의 덕이 강합니다.
  • 조상으로부터의 유업은 일주와 월령의 합(合)으로 나타납니다.

 

6. 형제자매 관계

형제자매의 십성 분석

  • 비견(比肩): 형제
  • 겁재(劫財): 동생
  • 칠살이 강하면 형을 극(剋)하고, 정관이 강하면 동생을 극합니다.

형제 관계에서의 특징

  • 비견과 겁재가 강하면 형제자매 간의 경쟁이 심할 수 있습니다.
  • 형제 중 한 명이 도화살에 강하면 형제자매 중 누군가가 인기를 얻는 직업에 종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7. 육친론에서의 특수 상황

배우자와 자녀

  • 일지 상관이 있으면 배우자와의 관계가 조화롭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시주 상관이 강하면 자녀가 어리석거나 자식 복이 적을 수 있습니다.

부모와 형제

  • 인수가 태왕하면 부모와의 관계가 긴밀하지만 상관이나 편인이 강하면 부모로부터 멀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월지가 충(沖)되면 부모와의 인연이 약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