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Guardian

성정론(性情論)과 오행·십신의 관계

코덱스 라이브러리 2024. 11. 16. 09:03

 

 

성정론은 인간의 감정과 품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오행(五行)과 십신(十神)을 통해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와 십신의 성격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사람의 본성과 행동을 예측하고, 조화로운 삶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오행론(五行論)

오행(木·火·土·金·水)은 각각 다섯 가지 기질과 품성을 상징합니다. 오행은 태과(太過), 불급(不及), 중화(中和)의 상태에 따라 인간 성정에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1. 목(木) - 곡직(曲直)

  • 특징: 자비와 친절함, 안면이 화락하고 섬세하며 사물 다루는 능력이 뛰어남.
  • 태과: 어진 마음이 넘쳐 집착과 편벽됨.
  • 불급: 자비심 부족, 질투심이 강함.
  • 주관 품성: 인(仁)과 측은지심.

2. 화(火) - 염상(炎上)

  • 특징: 예의와 공경심, 행동거지에 위엄. 급하지만 열정적이고 신속한 성정.
  • 태과: 조급하고 예의·법규를 무시.
  • 불급: 소심하고 의욕 부족, 질투하며 시작만 하고 끝을 맺지 못함.
  • 주관 품성: 예(禮)와 사양하는 마음.

3. 토(土) - 가삭구진(稼穡句陳)

  • 특징: 성실함, 신앙심, 도량이 크고 안정감 있음.
  • 태과: 고집과 괴벽으로 남과 잘 어울리지 못함.
  • 불급: 신뢰 부족, 음성 탁하고 비뚤어진 마음.
  • 주관 품성: 신(信)과 반성하는 마음.

4. 금(金) - 종혁(從革)

  • 특징: 의리를 중시하고 용기와 결단력. 재물보다 염치와 정의를 중시.
  • 태과: 다투기를 좋아하고 탐욕적임.
  • 불급: 결단력 부족, 지나친 소심함.
  • 주관 품성: 의(義)와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5. 수(水) - 윤하(潤下)

  • 특징: 지혜로움과 문학적 재능, 깊은 뜻과 총명함.
  • 태과: 속임수, 방랑벽, 의지 부족.
  • 불급: 소심함, 무모함, 왜소함.
  • 주관 품성: 지(智)와 분별력.

 

십신론(十神論)

십신은 사람의 성격과 운명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기준입니다.

1. 정관(正官)과 정인(正印)

  • 정관: 성품이 관대하고 총명하며 인자함.
  • 정인: 지혜와 풍만한 신체, 자비로움.
  • 특징: 인수격은 병이 적고 대체로 안정적인 삶.

2. 편인(偏印)

  • 특징: 학문과 예술에 소질, 끝맺음이 약함. 내면의 독기가 강함.
  • 주의점: 고독하고 자유롭지 못한 성향.

3. 칠살(七殺, 편관)

  • 특징: 주색과 다툼을 좋아하며 강한 통제력.
  • 주의점: 제압하지 못하면 파괴적 성향. 제압하면 정의로운 지도자.

4. 식신(食神)

  • 특징: 풍족하고 느긋한 삶, 자식복과 장수를 상징.
  • 주의점: 식신이 왕성하면 체구가 커짐.

5. 상관(傷官)

  • 특징: 다재다능, 총명, 창의적. 오만하여 사람들과 마찰 가능.
  • 주의점: 상관이 관성을 파극하면 허위와 오만이 심화.

6. 재성(財星)

  • 특징: 재물을 중요시하며 사업적 능력. 편재는 시비와 풍류를 좋아함.
  • 주의점: 편재가 탁하면 속임수와 후회 초래.

 

합(合)과 기타 특징

남녀 간의 합

  • 남명: 합이 많으면 총명하고 준수함.
  • 여명: 합이 많으면 음천(淫賤)하며 가난함.

형(刑)과 충(沖)

  • 형이 많으면 사람됨이 의롭지 못하고, 충이 심하면 평탄치 못한 인생.

기타

  • 금신(金神): 용맹과 폭력적 성향. 제복되어야 귀명을 얻음.
  • 일덕(日德): 자애롭고 선행을 베품.
  • 괴강(魁罡): 지조와 결단력, 뛰어난 문장력.

성정론은 인간의 성품과 행동을 오행과 십신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보다 조화로운 삶을 제시합니다. 자신의 사주와 타고난 성향을 파악하고, 부족하거나 과도한 성정을 조화롭게 다듬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