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라이브러리
검색하기

블로그 홈

라이브러리

creativestudio.kr/m

라이브러리는 인간이 지닌 위대한 능력인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가지 콘텐츠를 다루고자 합니다.

구독자
64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라이브러리 브랜드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숲 속의 정원사, 바우어새 바우어새(Bowerbirds) 바우어새(Bowerbirds)는 참새목 바우어새과(Ptilonorhynchidae)에 속하는 조류의 총칭이다. 수컷 새는 암컷의 흥미를 끌기 위해 마른 풀이나 나뭇잎 등으로 화려하게 집을 짓거나 장식하는 독특한 구애 행동으로 유명하다. 바우어버드, 정원사새 또는 정자새(亭子-) 등으로도 불린다. 8개 속에 20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다른 이름, 정원사새 인간이 집을 짓고 정원을 가꾸는 것처럼 산속에도 정원을 가꾸는 새가 있다. 신방 짓기 새라고도 불리는 바우어새 수컷은 암컷의 마음을 얻기 위해 바우어를 짓고 다양한 물건들로 집 안팎을 꾸민다. 바우어새들은 모두 자신만의 취향대로 수집품을 모으기 때문에 그 수집품은 형태, 모양, 색깔이 각각 다르다. 보겔콥 바우어새는 수집..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2.
  •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새끼, 흰뺨기러기 흰뺨기러기 잘생기고 독특하다. 크고 하얀 얼굴, 은빛 윗부분, 검은 목과 가슴은 하얀 배와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는 다소 작다. 주로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스피츠베르겐에서, 그리고 발트해 주변에서 번식한다. 농경지의 겨울과 풀이 무성한 습지의 겨울은 주로 북유럽 전역의 해안 저지대에서 나타난다. 영국의 호수나 공원에 서식하는 자유 나는 야생 조류는 주로 겨울잠을 자는 지역에서 수백에서 수천 마리까지 발생한다. 1. 새끼들은 부화 후 며칠 안에 절벽에서 뛰어내린다! 그들이 선호하는 극한 조건에서의 자손을 기르는 것 또한 그것의 도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이주만이 이 종이 직면하는 유일한 도전은 아니다. 기러기들은 천적을 피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높은 절벽에 둥지를 짓지만, 부화 후 며칠 안에 아래 풀..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8. 31.
  • 지랄맞은 성격, 아델리펭귄 아델리펭귄 펭귄목 펭귄과의 조류로 남극 대륙 연안 전체에 걸쳐 분포하며, 그곳에만 서식한다. 아델리펭귄이라는 이름은 1840년에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뒤르빌이 처음 발견하여 자기 아내인 아델리(Adélie)의 이름을 붙여 아델리펭귄이 되었다. 황제펭귄과 함께 흔히 '펭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를 생김새의 펭귄이다. 몸길이는 약 75cm로 다리는 짧고 날개는 지느러미 모양이다. 머리와 등은 짙은 검은색이고 가슴과 배, 눈둘레는 흰색이며, 부리는 짧고 검붉다. 울음소리의 경우는 서식지에서는 새끼는 회색 솜털을 가지고 있으며 삑삑 대는 울음소리를 낸다. 성적 이형성이 거의 보이지 않고 전체 색상은 머리와 등 부위의 검은색 깃털과 배 부분의 흰 깃털이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양쪽 눈의 .. 공감수 3 댓글수 0 2021. 8. 31.
  • 고양이를 닮은 맹수, 삵 고양이를 닮은 맹수, 삵 삵 또는 살쾡이(영어: leopard cat, 학명:Prionailurus bengalensis)는 식육목 고양이과에 속하는 동물이다. 털색은 회갈색이며, 회백색 뺨에는 세 줄의 갈색 줄무늬가 있다. 몸 길이는 45-55cm 정도이며, 꼬리는 25-32cm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삵"과 "살쾡이"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으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2급인 동물이다. 고양이와 교배는 가능하나 집고양이의 원 종은 아니며 집고양이의 원 종은 중동에 있는 들고양이이다. 현재까지 한국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양이과 야생동물이다. 동남아시아, 대한민국, 시베리아 지역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쓰시마 섬에서 발견된 바 있다. 나무를 타고 오르는 것에 능하다. 헤엄을 치는 일도 있다. 밤에 주로 활..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8. 19.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새, 매 매(Peregrine falcon) / 이명: 송골매 /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세계에서 가장 빠른 새, 매 매(영어: Falcon, 隼 또는 鶻) 또는 송골매(영어: peregrine falcon 페리그린 팔콘)는 매과에 속하는 3번째로 큰 맹금류이다. 어린 개체는 초고리라고 부른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23-7호로 지정되어 있다. 매목 맷과의 Peregrine falcon(Falco peregrinus)를 가리킨다. 참고로 매 하면 떠오르는 또 다른 맹금류인 참매는 사실 맷과가 아니라 수리과의 새다. 즉, 이쪽이 매목 맷과에 속한 진짜 매이며 참매와의 구분을 위해 송골매라고 자주 부른다. 해동청이라 불리며 몽골과 중국에서도 탐을 냈다는 기록 속의 그 매가 바로 이..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8. 19.
  • 정지비행의 명수, 황조롱이 황조롱이 특 징 ◈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텃새이다. ◈ 번식기 외에는 단독생활을 하며 먹이는 주로 땅 위의 목표물을 낮게 날거나 정지비행을 하다가 급강하하여 날카로운 발톱으로 사냥한다. ◈ 최근에는 도심의 아파트 베란다, 고층건물의 턱 등지에서 흔히 관찰되고 있다. ◈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한 무리의 새인 한국 황조롱이(Korean Kestrel)는 드물게 관찰되는 겨울철새이며, 황조롱이 수컷과는 쉽게 구분이 되지만 암컷은 구분이 힘들다. ◈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323-8호로 지정되어 있다. 번식정보 ◈ 번식기인 4∼5월 사이에는 암수가 짝을 지어 생활한다. ◈ 주로 해안이나 강가 산림에서 번식하고, 도시의 아파트, 고층건물에서의 번식이 늘고 있다. ◈ 알은 보통 4∼..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8. 13.
  • 부부 금슬의 상징, 원앙 원앙 Mandarin duck & Wood duck 이명: 원앙새 Aix galericulata & Aix sponsa Linnaeus, 1758 부부 금슬의 상징, 원앙 기러기목 오리과 원앙속에 속하는 조류. 천연기념물 제327호이다. 천연기념물이지만 환경 적응력은 준수한 편이라 개체수가 상당히 많아 호수나 하천에서 흔히 보인다. 이 속에 속하는 종으로 원앙과 아메리카원앙이 있다. 세계적으로는 보호종이 아니다. 부부금슬의 대명사라 전통 결혼식에선 항상 원앙 1쌍 나무조각이 빠지지 않았다. 현대에도 또다른 부부 금슬의 상징이기도 한 기러기 조각과 함께 안방의 침대 머리맡이나 화장대 등에 장식으로 놔두는 부부도 있다. 천연기념물이 되기 이전에도 신령하고 좋은 새라고 하여 함부로 잡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8. 13.
  • 세상에서 제일 귀여운 새, 붉은머리오목눈이(뱁새) 붉은머리오목눈이 Vinous-throated parrotbill 이명: 뱁새 Sinosuthora webbiana Gould, 1852 붉은머리오목눈이(뱁새) 참새목 흰턱딱새과의 조류. 뱁새라고 불리며 이름은 오목눈이지만 사실 오목눈이와는 다른 분류군에 속한다. 이전에는 '붉은머리오목눈이과'라는 독자적인 분류군을 형성했으나 현재는 흰턱딱새과에 통합. 영어명이 다른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한국에선 참새만큼 흔해서, 19개 공원에서 무려 2만 마리 이상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전국적으로는 훨씬 많을 것이다. 그만큼 흔해서 그런지,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랑이 찢어진다.'는 속담에도 등장한다. 이런 녀석이 황새 옆에서 종종걸음을 하다 가랑이가 찢어질 것 같은 모습을 상상해보자. 워낙 귀여운 생김새 덕에 "뱁새..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8. 11.
  • 한반도 최상위 포식자 담비 담비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동물. 족제비와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지만 족제비에 비해 귀가 다소 작은데다 뾰족하고 덩치는 2~3배 가량 더 크다. 한반도에 살고 있는 담비 한반도에는 노란목도리담비(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대륙목도리담비 라고도 부름), 검은담비(M. zibellina)등이 서식하고 있다. 현재 한반도 중남부에는 노란목도리담비만 서식한다. 노란목도리담비는 중대형 육식동물이 사라진 한국에서 수리부엉이, 검독수리 다음 가는 최상위 육식동물로 군림하고 있다. 덩치가 제법 있는지라 오소리나 수달도 잘 못잡는 고양이도 쉽게 몰아서 사냥하며 행동반경도 넓어 초식동물 개체수 관리도 하는 모양. 집단활동을 하는 담비 노란목도리담비는 2~6마리 정도의 작은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8. 10.
  • 하늘의 왕, 검독수리 검독수리(검수리, 검둥수리) Golden eagle 척삭동물문 조류강 수리목 수리과 맹금류에 속하는 종이다. 구대륙권에서 흔히 독수리나 이글하면 이 새를 일컫는 것이다. 참고로 검독수리의 독자는 禿(대머리 독)이라 엄연히 정수리에도 깃털이 풍성한 이 새와는 안 맞는 이름이다. 한국에서는 1973년 4월 12일 독수리·참수리·흰꼬리수리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동북아시아, 중앙아시아, 동유럽, 북유럽, 미국, 멕시코, 호주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대형 맹금류로서 전 세계 각지에서 먹이사슬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불곰, 호랑이, 표범, 스라소니, 늑대, 승냥이 등 대형 육상 맹수가 거의 없어진 한반도에서는 국..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8. 4.
  • 토종거북 천연기념물, 남생이 남생이 Mauremysreevesii 중국 북동부, 한반도에 자생하는 파충류 거북목 잠경아목 돌거북과 남생이속의 동물. 주로 민물에 서식하며, 겨울이 되면 진흙 속에서 월동하였다가 6-8월에 물가의 모래나 부드러운 흙 속에 알 5-15개를 낳는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물고기, 갑각류, 수생식물 등을 먹고살며, 사육할 때는 빵이나 지렁이도 잘 받아먹는다. 다 자란 성체의 등껍질은 길이가 수컷은 15cm, 암컷은 20cm 정도이며 드물게 25cm의 개체가 발견된 적도 있다. 일본에서는 쿠사가메(クサガメ), 새끼는 제니가메(ゼニガメ)라고 불린다. 일본에는 한반도에서 대마도를 통해 유입되었지만, 메이지 유신 이전에 도입되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외래종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영어권에서는 Korean turtle, R..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8. 4.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