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안검법: 고려 광종의 개혁과 권력의 이면
1. 머리말노비안검법(奴婢按檢法)은 한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제도이며, 고려 제4대 국왕 광종(光宗)이 왕권 강화를 위한 개혁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 법은 신하들의 사병이자 노동력이었던 노비들을 해방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노비안검법의 시행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의외로 부족하다. 본 글에서는 고려시대의 역사적 자료, 특히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를 통해 노비안검법의 실체에 접근하고, 그 의의와 쟁점에 대해 논의하겠다.2. 사료에 남아있는 ‘노비안검법’ 이야기노비안검법이 시행된 시기는 956년(광종 7)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려사』의 「세가(世家)」에 해당 연도의 기록은 극히 단순하다. 예를 들어, 광종이 장작감 설문우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