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토(土)의 상생과 상극·토생수(土生水) 토극수(土克水)

토(土)의 상생과 상극
토(土)의 상생과 상극

토(土)의 상생과 상극

토(土)수(水)를 극한다. 일반적으로 토는 수를 싫어한다. 흙이 물을 만나도, 물이 흙을 만나도 너무 많으면 진흙이 되버리고 만다. 순수한 흙이라면 진토가 될 것이고, 기토는 버티지 못할 것이다. 한 여름의 조열한 땅인 미토는 물을 만나면 영양이 풍부하고 비옥한 땅이 된다.

 

토생수(土生水)
토극수(土克水)

토생수(土生水)

인간의 입장에서도 물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댐을 건설해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물을 사용한다. 여름의 장마철이나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홍수가 날 수 있고 제방이 무너질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갑자기 밀려오는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없다.

 

토극수(土克水)
토극수(土克水)

토극수(土克水)

물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다. 깨끗하고 맑은 물에 흙이 들어가면 흙탕물이 된다. 마셔야 하는 물에 흙이 들어가는 것과 같다. 그러나, 자연의 이치에서 흙은 물을 정화시키기도 한다. 계곡의 맑은 시냇물을 생각해보면 될 것이다. 흙은 물을 혼탁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정화시키기도 한다.

 

미(未)토

미(未)토, 여름의 건조하고 뜨거운 흙

를 생하기 위해서는 수가 필요한 땅이어야만 한다. 미토의 경우에는 수분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한 여름의 땅, 갈라진 땅인데 물을 얻어야 자양지토로 회복할 수 있고 나무를 키울 수 있다. 그래서 진토, 축토, 술토와 달리 지지의 미토는 가장 물이 없는 땅이다. 이렇게 되면 수는 수극토가 아니라 수생토가 되는 것이다.

 

기토(己土)와 무토(戊土)

기토와 무토는 천간에서 흙의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나면서도 확연히 차이가 난다. 기토는 음이고 무토는 양이며, 기토는 드러내지 않는 것이고, 무토는 드러내는 것이다. 기토는 속을 알 수 없다면 무토는 정직하고, 기토는 계획을 잘한다면 무토는 실행을 잘하는 것이다.

기토(己土)
기토(己土)

기토이라면 무토이 된다. 이처럼, 기토와 무토는 결코 같을 수 없는 흙이라는 것이다. 기토는 임수를 꺼려하지만, 무토는 임수를 반긴다. 같은 흙이라고 할지라도 이처럼 수를 대하는 것이 다르다. 이처럼, 어떤 상황에서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토극수인지 토생수인지 달라지는 것이다.

 

무토(戊土)
무토(戊土)

 

수가 많은 사주 : 임수(壬水), 계수(癸水), 해수(亥水), 자수(子水)

 

수가 많은 사주 : 임수(壬水), 계수(癸水), 해수(亥水), 자수(子水)

수가 많은 사주 수가 많은 사주는 물이 많은 사주와 같다. 사주 원국에서 수가 많다는 것은 3개 이상일 때, 그 세력이 강해진다고 할 수 있는데 수의 물상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

creativestudi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