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 고구려의 전략적 요충지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

1. 봉황산산성의 개요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은 중국 랴오닝성 펑청시(鳳城市)에서 동남쪽으로 약 3.5km 떨어진 봉황산(836.4m)에 위치한 고구려의 유적이다. 고대 문헌에 따르면 이곳은 고구려 지방관인 욕살(褥薩)이 주둔했던 오골성(烏骨城)으로 추정된다. 이 산성은 전체 둘레가 16km에 이르는 포곡식(包谷式) 석축 산성으로, 고구려의 가장 대규모 산성 중 하나로 손꼽힌다.

중국의 침략로였던 랴오허(遼河)에서 평양으로의 진입을 저지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서쪽으로 안시성(安市城), 동쪽으로는 압록강을 따라 단둥의 호산산성(泊灼城)과 연결된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은 봉황산산성이 군사적 방어와 교통 요충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

2. 봉황산산성의 고고학적 조사 결과

고고학적 조사 배경

1985년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었고, 랴오닝성문물고고연구소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발굴을 진행했다. 이 조사에서는 성벽, 망대, 성문, 치(雉), 대형 건물지, 그리고 주변에 있는 183기의 고구려 고분을 발굴했다. 발굴된 유물들은 현재 단둥시박물관에 일부 전시되고 있다.

산성 구조와 특징

봉황산산성은 험준한 지형을 이용해 자연적인 방어 기능을 극대화했다. 특히 해발 836.4m의 산봉우리를 자연 성벽으로 활용하고, 나머지 낮은 지대는 인공 석축으로 보강했다. 성벽의 총 길이는 15,955m이며, 그중 7,525m가 인공 석축이다. 이는 고구려의 전형적인 쐐기형 성돌 구조로 쌓은 것이 특징이다.

산성의 주문은 남문으로, 거대한 차단벽이 설치되어 있으며, 북문에는 옹성이 덧붙여져 있다. 발굴 결과 북문의 옹성은 요대(遼代) 시대에 추가된 것으로 밝혀졌다.

치와 돌구멍(石洞)의 기능

산성의 북쪽 성벽에서는 여장(성가퀴)과 함께 방형의 돌구멍이 연속적으로 발견되었다. 돌구멍의 기능에 대해 여러 설이 있는데,

  • 배수구 역할
  • 목책을 고정하기 위한 기둥 구멍
  • 방어용 쇠뇌투석기를 배치하기 위한 구조물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이들 돌구멍은 성벽을 안정화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
봉황산산성(鳳凰山山城)

3. 봉황산산성의 역사적 의미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역할

봉황산산성은 고구려가 중국과의 잦은 전투 속에서 랴오둥반도와 평양을 잇는 핵심 경로를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신당서(新唐書)』의 기록에 따르면, 당 태종이 안시성을 공격할 당시 고연수와 고혜진은 "오골성을 탈취하면 평양까지도 점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오골성이 평양을 방어하는 전초기지로서 중요성을 가졌음을 보여준다.

고구려의 행정 및 군사 체계와 연계

봉황산산성에는 고구려의 지방관인 욕살(褥薩)이 상주했다. 고구려는 대성-성-소성으로 행정 구역을 나누었으며, 대성에는 욕살이 파견되었다. 이는 당나라의 도독에 해당하는 지위로, 행정과 군사를 겸한 고위 직책이었다.

고구려의 성에는 기와 건물이 존재했는데, 이는 『구당서』와 『주서』에 기록된 왕궁 및 관청에서만 기와를 사용했다는 내용과 일치한다. 봉황산산성 역시 기와 건물지가 다수 발굴되어 지방 행정의 중심지였음을 증명한다.

 

결론

봉황산산성은 단순한 군사적 방어선을 넘어 고구려의 행정과 군사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중요한 성이다. 이곳은 중국과의 잦은 충돌 속에서 평양을 방어하는 첫 관문으로 기능하며, 주변 성들과 긴밀하게 협력해 고구려의 영토 방위를 담당했다. 또한 고구려의 지방 통치와 군사적 거점으로서 욕살이 상주하며 그 일대를 통치했던 핵심 지역이었다.

봉황산산성은 고구려의 전략적 요충지로서, 단순한 유적을 넘어 고구려의 역사적 중요성지리적 가치를 증명하는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된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