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도(香徒)와 민간 불교 신앙생활
1. 개요향도(香徒)는 향(香)을 매개로 한 불교 신앙 조직이자, 촌락 단위로 형성된 지역 공동체입니다. 이는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불교 신앙을 실천하는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향도는 탑과 불상 조성, 종 주조 등 불교 조영물 제작을 통해 깨달음과 해탈을 바라는 신앙 활동에 집중했습니다.특히, 향도의 기원은 신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고려 시대에는 더욱 활발히 발전했습니다. 고려 후기와 조선 초에는 매향(埋香) 활동이 크게 유행하면서 민간 신앙의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현생의 위기 극복과 미륵불(彌勒佛)의 하생을 기대하는 공동체의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2. 향의 전래와 향도의 발생향도의 발생은 불교와 함께 도입된 향(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향은 신라 눌지왕(재위 417 - 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