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오녀산성: 고구려 첫 번째 왕성의 유적과 역사적 가치

환런 오녀산성(五女山城)
환런 오녀산성(五女山城)

1. 개요

오녀산성(五女山城)은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번시시(本溪市) 환런현(桓仁縣)에 있는 고구려 초기 왕성 유적입니다. 이 성은 해발 806m의 오녀산 정상부에 위치하며, 사방이 험준한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자연 방어 능력이 뛰어납니다.

성 내부에서는 고구려 초기의 대형 건물 유구가 발견되었고, 성벽은 4.57km에 달하지만 대부분 자연 절벽을 활용한 점이 특징입니다. 이 성은 고구려 첫 도읍지인 졸본으로 비정되며, 고구려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됩니다. 오녀산성은 200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현재 정비된 관광지로 많은 방문객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2. 오녀산성의 고고학 조사 내용

초기 연구와 일제강점기의 조사

오녀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1912년, 도쿄제국대학의 도리이 류조(鳥居龍藏)는 이곳을 답사하고 사진과 스케치 자료를 남겼습니다. 당시 도리이는 오녀산성을 고구려의 두 번째 도읍지인 국내성으로 잘못 비정하기도 했습니다.

환런 오녀산성(五女山城)

1964년에는 북한과 중국이 공동으로 유적 조사팀을 꾸려 오녀산성에 대한 간단한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본격적인 발굴은 1986년에 시작되었고, 이후 1996년부터 1999년, 2003년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2004년에 발간된 발굴조사 보고서는 이 성의 구조와 유물의 중요성을 밝혀냈으며, 같은 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데 기여했습니다.

성의 구조와 축조 방식

오녀산성은 산 정상과 산비탈의 지형을 최대한 활용한 천혜의 요새입니다. 정상부는 남북 600m, 동서 110~200m의 평탄한 지형으로, 내부에는 대형 건물지, 샘과 저수시설, 서문지 등이 있습니다. 성의 대부분 구간은 절벽이지만, 일부 구간에는 석축 성벽이 남아 있습니다. 성벽은 장대석을 사용해 정교하게 쌓아 올렸으며, 쐐기 모양과 긴 돌을 결합하는 독특한 기법으로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이 성벽의 윗부분에는 평여장(平輿牆)이 설치되어 방어 능력을 강화했고, 여장 내부에는 돌로 된 구멍을 2m 간격으로 배치해 병사들이 활을 쏘기 좋게 설계되었습니다.

 

3. 초기 왕성으로서의 오녀산성

졸본 도읍과의 관계

고구려의 첫 도읍은 졸본(卒本)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삼국사기』 동명왕조에 따르면, 주몽은 졸본에 이르러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습니다. 오녀산성은 험준한 지형과 전략적 입지를 통해 이러한 졸본의 위치에 부합하며, 고구려 초기 도읍지로 유력하게 비정되고 있습니다.

환런 오녀산성(五女山城)

환런 지역은 산악 지형과 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유적지로는 하고성자토성과 여러 고분군이 있습니다. 특히, 오녀산성은 환런 분지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해 군사적 요충지로 기능했으며, 성 내부에서 발견된 대형 초석 건물지는 왕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흘승골성과 오녀산성

『광개토왕비』에는 고구려가 "홀본 서쪽 산 위에 성을 쌓아 도읍을 정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는 오녀산성을 흘승골성(紇升骨城)으로 보는 근거가 됩니다. 발굴된 대형 건물지는 길이 13.8m, 너비 7.2m로, 고구려 초기 건축물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이는 왕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고구려 건국 당시 산성 도읍의 중심 역할을 했음을 암시합니다.

평지 도읍과의 연계성

오녀산성은 접근이 어려운 산 정상부에 위치해 있어 왕의 일상적인 거처로는 부적합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따라서 평지에 있는 하고성자토성이 일상적인 도읍 역할을 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하고성자토성에 대한 발굴조사가 미비하여 그 시기와 용도를 명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환런 오녀산성(五女山城)

한편, 환런 지역의 고력묘자고분군은 다양한 형식의 적석총을 포함하고 있어, 오녀산성 인근에 초기 고구려인의 거주지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줍니다.

 

4. 국내 천도 이후의 오녀산성

성의 활용 변화

고구려는 3세기 후반에 수도를 국내성으로 옮기면서 정치·행정 중심을 지안 지역으로 이동했습니다. 하지만 오녀산성은 방어성으로 계속 활용되었으며, 건국지로서의 상징성을 유지했습니다.

환런 오녀산성(五女山城)

발굴 조사 결과, 오녀산성에서는 기와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고구려 중기 이후 주요 건물에 기와를 사용한 것과 대조되며, 국내 천도 이후 오녀산성이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평양 천도 이후에도 오녀산성은 졸본 지역의 방어를 위해 유지되었지만, 수도와의 거리로 인해 그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습니다.

 

결론

오녀산성은 고구려 건국의 중심지였던 졸본 도읍의 중요한 유적지로, 초기 고구려의 군사적·정치적 역사를 상징합니다. 험준한 지형과 독특한 성벽 축조 기술은 고구려인의 지혜와 방어력을 보여줍니다.

환런 오녀산성(五女山城)

국내 천도 이후에도 상징성과 방어적 역할을 유지했던 오녀산성은 고구려사의 중요한 퍼즐 조각으로 평가됩니다. 오늘날 오녀산성은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지속적인 발굴과 연구가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