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백제의 건국 시조, 온조왕: 백제 건국과 초기 역사

온조왕(溫祚王)은 백제의 초대 왕으로, 고대 한국사의 중요한 시발점을 형성한 인물입니다. 그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18년부터 서기 28년까지 약 46년간 이어졌으며, 백제의 기틀을 다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온조왕의 건국 설화, 백제의 다양한 설화들, 그리고 그의 주요 업적을 중심으로 백제 초기의 역사를 살펴보겠습니다.

 

숭렬전 온조왕묘
숭렬전 온조왕묘

 

온조왕의 백제 건국 설화

온조왕의 건국 이야기는 주로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설화에 따르면, 고구려 시조인 주몽의 두 아들 비류(沸流)와 온조(溫祚)는 남하하여 새로운 나라를 세웁니다. 이 과정에서 형제의 의견 충돌로 비류는 미추홀(彌鄒忽)에 정착했고, 온조는 위례성(慰禮城)을 도읍으로 삼아 십제(十濟)라는 나라를 세웠습니다. 이후 비류가 실패한 정착지에서 어려움을 겪다 죽자, 그의 무리들은 온조에게 귀부합니다. 온조는 이때 나라의 이름을 백제(百濟)로 바꾸고 왕위를 이어갔습니다.

이 설화는 백제 왕실의 기원이 북방계 민족인 부여(扶餘)와 연결된 것을 보여주며, 고구려와의 혈연적 연계성을 암시합니다. 백제 왕실은 초기부터 부여씨(扶餘氏)를 성으로 사용하면서 부여계통임을 강조했습니다.

 

온조왕[溫祚王]
온조왕[溫祚王]

 

백제 건국의 다양한 설화들

백제의 건국 설화는 온조왕 외에도 비류구태(仇台)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가 별도로 존재합니다. 이는 백제의 지배 집단이 단일한 계통이 아닌, 다양한 세력의 혼합체였음을 시사합니다.

비류 건국 설화

비류 설화에서는 주몽이 비류와 온조의 생부가 아닌, 해부루(解夫婁)의 손자인 우태(優台)와 소서노(召西奴)의 자식으로 설정됩니다. 주몽이 소서노와 결혼하며 의붓아버지가 되었고, 두 형제는 남하 후 함께 미추홀에 정착했다고 전해집니다. 이는 온조 설화와 차이가 있으며, 온조보다는 비류가 더 주체적인 시조로 등장합니다.

구태와 도모왕 설화

『삼국사기』와 중국 사서에서는 백제 건국과 관련된 구태 설화가 등장하며, 일본의 『속일본기(續日本記)』에는 도모왕(都慕王)이라는 인물이 백제의 창건자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시조설은 백제의 복잡한 지배계층의 형성을 보여주는 단서입니다.

 

온조왕의 주요 업적

온조왕의 치세 동안 백제는 마한, 낙랑, 말갈 등 여러 외부 세력의 공격을 받으면서도 국가의 기틀을 다졌습니다. 온조왕은 군사적 방어와 내부 체제 정비를 통해 백제의 기초를 튼튼히 했습니다.

1. 대외적 방어와 영토 확장

  • 말갈의 침입 격퇴: 말갈은 온조왕 재위 동안 총 7차례나 백제를 공격했습니다. 특히 온조왕 8년에는 위례성이 포위당할 정도로 위협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온조왕은 이를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말갈 세력을 격퇴했습니다.
  • 낙랑과의 관계: 초기에는 낙랑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온조왕이 마수성(馬首城)과 병산책(甁山柵)을 축성하면서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낙랑의 사주로 말갈이 백제를 공격하기도 했습니다.

2. 마한과의 관계 정립

온조왕은 마한 연맹에 속해 있었으나, 북방에서 남하한 이주민 세력으로서 점차 독립적인 세력을 키웠습니다. 그는 마한과의 영토 경계를 확립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지역을 병합하며 세력을 확장했습니다. 하지만 『삼국지(三國志)』의 기록에 따르면 3세기 중반까지도 마한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아, 온조왕 때 백제가 마한 전체를 장악한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연구자들은 백제가 목지국(目支國)을 비롯한 일부 마한 세력을 흡수한 것으로 봅니다.

3. 내부 체제 정비

온조왕은 외부 세력의 침입을 막는 동시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는 데 힘썼습니다.

  • 행정 구역 설치: 재위 31년에 남부와 북부를, 33년에 동부와 서부를 설치하여 지방 행정을 강화했습니다.
  • 태자 책봉: 28년에 맏아들 다루를 태자로 책봉하며 왕위 계승 체제를 확립했습니다.
  • 동명왕 사당 건립: 건국 초기, 동명왕(주몽)의 사당을 세워 부여와 고구려계 왕실의 정통성을 강조했습니다.

 

온조왕 업적에 대한 재평가

온조왕 치세에 기록된 업적의 상당수는 후대의 발전 과정과 혼재된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마한 병탄의 경우 『삼국지』와의 비교를 통해 실제로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근래의 풍납토성 발굴 성과를 통해 온조왕 시기 백제의 군사적, 정치적 역량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온조왕이 단순한 신화적 인물이 아닌, 실제 역사적 인물로서 백제 초기 국정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뒷받침합니다.

결론: 백제의 기틀을 다진 온조왕

온조왕은 백제의 창건자로서 남하한 이주민 세력을 통합하고, 외부 세력의 도전에 맞서 국가의 기반을 다졌습니다. 그의 건국 이야기는 단순한 신화가 아닌, 복잡한 계통과 다양한 외부 세력 간의 갈등을 담고 있습니다. 온조왕의 재위 기간 동안 쌓은 기반은 이후 백제가 고대 동아시아의 강국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