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신라 6부: 건국과 핵심 지배집단의 형성

울진봉평신라비
울진봉평신라비

1. 개요

신라의 6부는 국가 형성 초기의 핵심 지배집단이자 왕경(王京)의 행정구역이었다. 초기 문헌에는 신라에 6개의 촌락이 존재했으며, 이후 이 촌락들이 통합되어 6부(部)로 재편되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초기 기록의 신뢰성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있으며, 신라 6부는 법흥왕의 율령 반포를 통해 본격적인 행정구역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이해된다.

 

2. 6촌의 통합과 사로국 건국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신라의 건국과정을 6촌의 통합과 관련짓고 있다. 이들 기록에 따르면 지금의 경주 지역에 흩어져 살던 여섯 촌이 모여 사로국(斯盧國)을 건국하게 된다. 각 촌락의 명칭과 위치는 다음과 같다.

  • 양산촌(閼川 楊山村) – 첫째 촌
  • 고허촌(突山 高墟村) – 둘째 촌
  • 진지촌(觜山 珍支村) 혹은 간진촌(干珍村) – 셋째 촌
  • 대수촌(茂山 大樹村) – 넷째 촌
  • 가리촌(金山 加利村) – 다섯째 촌
  • 고야촌(明活山 高耶村) – 여섯째 촌

이들 6촌은 이후 혁거세거서간을 왕으로 추대하며 신라의 건국이 이루어진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촌장들이 하늘의 계시를 받아 알에서 태어난 혁거세를 왕으로 삼았다는 신화적 이야기도 기록되어 있다. 이는 신라의 건국과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한 전승으로 해석된다.

 

 

3. 6촌에서 6부로의 변화

6촌이 단순한 촌락 연합에서 6부라는 정치·행정 조직으로 변화하는 과정은 복잡하다. 『삼국사기』는 유리이사금 9년(32년)에 6촌의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기록한다.

  • 양산부(楊山部)양부(梁部), 성씨: 이(李)
  • 고허부(高墟部)사량부(沙梁部), 성씨: 최(崔)
  • 대수부(大樹部)점량부(漸梁部) 혹은 모량부(牟梁部), 성씨: 손(孫)
  • 간진부(干珍部)본피부(本彼部), 성씨: 정(鄭)
  • 가리부(加利部)한기부(漢祇部), 성씨: 배(裵)
  • 명활부(明活部)습비부(習比部), 성씨: 설(薛)

그러나 6촌과 6부는 단순한 명칭의 변화가 아니라 정치적 기능과 사회적 지위에서도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6부가 모든 기능을 갖추게 된 시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지만, 5세기 이후 김씨 왕족이 권력을 장악하면서 본격적으로 6부 체제가 정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4. 6부와 성씨의 도입 논란

문헌에는 6부의 각 집단이 성씨를 부여받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나, 이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초기 신라에서는 중국식 성씨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성씨 없이 이름만으로 정체성을 표현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6세기 초에 세워진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는 성씨 없이 인물의 이름만 기록되어 있다. 중국 사서 『양서』와 『남사』에서도 6세기 이전의 신라 왕들은 성을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묘사된다.

실제로 신라에서 성씨 사용의 시작은 진흥왕 때로 추정되며, 565년에 북제(北齊)가 진흥왕을 ‘김진흥(金眞興)’으로 책봉한 것이 성씨 도입의 첫 사례로 확인된다. 따라서 초기 6촌 촌장들이 성씨를 가졌다는 기록은 후대의 기록자가 당시 사회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소급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5. 6부의 행정구역화와 왕경 6부 체제

신라 6부가 단위 정치체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왕경의 행정구역으로 편제된 시기는 법흥왕의 율령 반포(520년경)와 연관된다. 『양서』 신라전에서는 신라의 행정 체계를 설명하며, 6부를 탁평(啄評)이라 칭하고 이를 중국의 군현 제도에 비유한다.

524년에 세워진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는 ‘신라 6부’라는 명문이 등장하며, 이를 통해 법흥왕 시대에 6부가 왕경 행정구역으로 구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초기의 6부가 단위 정치체에서 행정구역으로 변화한 배경에는 중앙집권화 과정과 김씨 왕족의 주도권 강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6부의 구성과 역할:
    • 양부와 사량부: 김씨 족단이 중심
    • 모량부: 박씨 족단의 영향
    • 한기부: 석씨 족단 주도
    • 본피부와 습비부: 중소 정치 세력의 기반

6부는 법흥왕대 이후로는 단순히 행정구역의 역할을 수행하며, 통일 신라 시기에는 왕경 내부의 행정 체계로 기능을 이어간다.

 

6. 결론

신라 6부는 초기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정치적 집단이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행정구역으로 재편되었다. 초기 기록에 나타난 6촌과 6부의 명칭 변화는 단순한 행정구역 명칭의 개편을 넘어 당시 사회 구조와 정치적 권력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성씨 사용에 관한 논란에서 알 수 있듯이, 초기 신라 사회는 후대와 다른 방식으로 정체성을 나타내었다. 신라 6부는 법흥왕대의 율령 반포를 기점으로 행정구역으로 확립되며,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로 발전해 나가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관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