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신라 돌무지 덧널 무덤과 경주의 고총

신라 돌무지 덧널 무덤과 경주의 고총

 

경주의 상징, 신라 고분 문화의 꽃

1. 돌무지 덧널 무덤의 개요

돌무지 덧널 무덤(積石木槨墳)은 신라를 대표하는 무덤 양식으로, 지하에 나무로 덧널(木槨)을 설치하고 그 위에 돌과 흙을 겹겹이 쌓아 올려 만든 거대한 봉분이다. 이 무덤은 적석목곽분 또는 고총(高塚)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왕족과 귀족 계층의 무덤으로 사용되었다. 경주 대릉원과 천마총 등에서 대표적인 예가 발견되며, 화려한 유물들이 다수 출토된 덕분에 신라의 문화와 국력 수준을 엿볼 수 있다.

 

 

 

2. 구조와 형태

덧널의 배치와 무덤 형태의 특징

돌무지 덧널 무덤은 지하에 나무로 만든 덧널을 놓고, 그 위에 냇돌과 흙을 덮어 봉분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 무덤의 주요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덧널(木槨): 나무로 만든 내부 매장시설. 주로 외널묘(홑무덤)와 여러널묘(복합 무덤)로 나뉜다.
  2. 돌무지(積石): 냇돌을 사용해 덧널을 감싸는 구조. 덧널이 붕괴되며 봉분이 낙타 등 모양으로 변하기도 한다.
  3. 봉토(封土): 돌 위에 흙을 쌓아 만든 거대한 봉분.
  4. 둘레돌: 묘역의 경계를 표시하고 봉토를 보호하는 기능을 함.

주요 고분으로는 황남대총, 천마총, 금관총, 서봉총 등이 있으며, 이들 고분에서는 왕릉급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내부구조에 따른 분류

  • 외덧널식(독곽식): 덧널이 하나인 단순한 형태.
  • 겹덧널식(양곽식): 두 개의 덧널로 구성된 구조.
  • 여러덧널식: 세 개 이상의 덧널로 구성되며, 부장품을 위한 딸린 덧널이 증가한다.

대부분의 돌무지 덧널 무덤은 추가장이 불가능한 홑무덤 형식이며, 합장이 불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었다.

 

신라 돌무지 덧널 무덤
신라 돌무지 덧널 무덤

 

3. 대표 고분의 발굴 사례

1921년 금관총 발굴을 시작으로 다양한 돌무지 덧널 무덤들이 발굴되었다. 천마총황남대총에서는 금관, 귀금속 장신구, 말 관련 장식품 등이 다수 출토되었으며, 이는 신라 왕족의 화려한 생활상을 증명해준다.

  • 천마총: 백제, 고구려와 구분되는 신라의 독자적인 문화유산. 유일하게 천마를 그린 말다래가 발견된 곳이다.
  • 황남대총: 남녀 합장으로 추정되며, 유물 출토량이 압도적이다.

 

천마총(天馬塚)
천마총(天馬塚)

 

4. 돌무지 덧널 무덤의 기원과 발전 과정

북방 기마민족과의 연관성

돌무지 덧널 무덤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 북방 기원설: 시베리아 쿠르간 문화에서 기원했다는 주장. 기마민족의 이동과 함께 묘제가 신라에 전파되었다는 해석이다.
  • 토착 발생설: 기존의 나무 덧널 무덤 전통 위에 고구려 돌무지 무덤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이 경우, 신라의 돌무지 덧널 무덤은 지역적 전통과 외부 문화의 융합으로 해석된다.

경주와 낙동강 유역의 변화

경주를 비롯한 신라 지역에서는 초기 구릉지대의 소형 무덤들이 점차 평지형 대형 무덤으로 발전한다. 경주 조양동 고분군부산 복천동 고분군은 이러한 발전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고인돌 전통과 돌무지 양식이 결합하여 거대한 봉분 형태가 나타난 것이다.

 

5. 돌무지 덧널 무덤의 의의와 역사적 의미

마립간 시대의 상징적 묘제

돌무지 덧널 무덤4세기 중반~6세기 중반에 집중적으로 축조되었으며, 이 시기는 신라 왕권이 강화된 마립간 시기와 겹친다. 마립간은 신라 왕위 세습 체제를 확립한 지도자로, 돌무지 덧널 무덤은 왕족과 귀족의 권위를 상징하는 묘제였다.

도굴 방지와 유물 보존

이 무덤의 복잡한 구조 덕분에 도굴이 어려워, 내부 유물들이 비교적 원형에 가깝게 보존될 수 있었다. 금관총과 천마총에서 순금 금관, 귀금속 장신구, 도자기 등이 다량 출토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돌무지 덧널 무덤은 그 시대의 경제력과 예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6. 돌무지 덧널 무덤의 문화사적 의의

돌무지 덧널 무덤은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와 차별화된 독자적인 문화를 구축했다는 증거이다. 특히, 대형 봉분과 다양한 부장품들은 신라의 중앙집권화 과정과 국력 신장을 반영한다. 경주를 중심으로 한 이 묘제는 신라의 사회·경제적 번영을 상징하며, 신라의 정치적 성장과 외교적 위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산이다.

 

7. 결론: 신라 돌무지 덧널 무덤의 가치와 보존

돌무지 덧널 무덤은 신라의 문화·정치·사회적 발전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산이다. 이러한 묘제가 경주에 집중된 것은 신라 왕권의 강화와 중앙집권화의 과정을 반영하며, 동시에 고대 한반도의 문화적 독창성을 보여준다. 경주 대릉원을 비롯한 신라 고분군은 오늘날까지도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적지와 유물에 대한 연구와 보존을 통해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