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칠지도(七支刀): 백제와 왜를 잇는 상징적 유물

칠지도(七支刀)
칠지도(七支刀)

칠지도 개요

칠지도(七支刀)는 일본 나라현[奈良縣] 덴리시[天理市]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에 소장된 고대 철제 칼로, 칼날이 7개의 가지(支)처럼 분기된 독특한 형태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 칼은 백제에서 왜(倭, 지금의 일본)에 전달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한일 간의 외교적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하지만 칠지도의 제작 시기와 칼에 새겨진 명문(銘文)의 해석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칠지도(七支刀)
칠지도(七支刀)

 

칠지도의 발견과 형태

칠지도는 1874년 이소노카미 신궁의 궁사(宮司)였던 칸 마사토모[管政友]가 처음 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길이 74.9cm에 달하는 칼의 본체(칼날 길이 65cm)는 독특하게도 양쪽에 3개씩, 총 6개의 가지 칼날이 엇갈리며 붙어 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무기로 사용하기보다는 의식용 혹은 주술용 칼로 추정된다.

이소노카미 신궁
이소노카미 신궁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 이소노카미진구. 석상 신궁)

발견 당시 칼이 부러진 상태였기에 초창기에는 이것이 ‘6개의 엇갈린 창(六叉鉾)’으로 잘못 기록되기도 했다. 이후 1890년대 칼 표면에 새겨진 금상감(象嵌) 글자들이 드러나면서, 이 유물이 ‘칠지도’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1953년 일본의 국보로 지정된 칠지도는 한일 양국의 고대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유물로 큰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칠지도의 명문(銘文)과 해석칠지도의 명문(銘文)과 해석
칠지도의 명문(銘文)과 해석

 

칠지도의 명문(銘文)과 해석

칠지도의 표면과 이면에 새겨진 명문에는 백제와 왜의 관계, 제작 일자 및 의도 등이 기록되어 있다. 표면에 34~35자, 이면에 27자로 총 61~62자가 금으로 새겨져 있으나, 부식과 박락으로 인해 해독 가능한 글자는 약 20자에 불과하다.

칠지도 명문 원문

표면

  • 泰和四年(□□)月十六日丙午正陽造百練銕七支刀□辟百兵宜供供侯王□□□□作

이면

  • 先世以來未有此刀百濟王世-奇生聖音故爲倭王旨造傳示後世

해석

표면

  • 태화(泰和) 4년 (□□)월 16일 병오일 한낮에 백 번 제련한 철로 칠지도를 만들었다. 병해(兵害)를 물리칠 수 있을 것이다. 후왕(侯王)에게 주기 알맞다. □□□□가 만들었다.

이면

  • 선대부터 이런 칼은 없었는데, 백제 왕이 대대로 성스러운 소리를 내어 왜왕을 위해 이 칼을 정교하게 만들어 후세에 전하도록 하였다.

 

 

칠지도와 한일 외교 관계

칠지도의 명문은 백제와 왜의 관계를 해석하는 중요한 단서이다. 하지만 일부 구절의 해석 차이로 인해 여러 견해가 존재한다. 특히 ‘宜供供侯王(의공공후왕)’이라는 문구와 ‘기생성음(奇生聖音)’의 의미를 두고 학자들 간에 다양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① 칠지도의 제작 시기 논쟁

칠지도의 제작 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연호(年號)는 명문 첫 부분의 ‘태화(泰和) 4년’이다.

  • 동진(東晉)의 태화(泰和) 연호 사용설: 369년(근초고왕 시대)으로 보는 견해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진다.
  • 백제의 독자적 연호 사용설: 삼국 시대 금석문에 중국 연호가 사용된 사례가 드문 점을 들어 백제의 독자 연호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 북위(北魏) 태화 연호 사용설: 명문을 북위 태화 4년인 480년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최근 연구자들은 백제와 왜가 처음 교류한 시점인 4세기 후반에 초점을 맞추며, 근초고왕 시기(369년경)를 칠지도 제작 및 전달 시기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② 백제와 왜의 관계 해석: '의공공후왕'의 의미

‘의공공후왕(宜供供侯王)’은 백제와 왜의 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문구로 주목받는다. 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견해로 나뉜다.

  1. 백제 하사설: 칠지도를 백제에서 왜에 하사한 것으로 본다.
  2. 백제 헌상설: 백제가 왜에 조공 형태로 바친 것으로 해석한다.

다만 이 문구는 길상구(吉祥句)로도 볼 수 있다. 즉, 이 칼이 왕이나 고위 인사에게 걸맞은 물건이라는 의미로, 특정한 군신 관계를 암시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칠지도의 명문은 백제와 왜가 친밀한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③ ‘기생성음(奇生聖音)’의 의미

‘기생성음’의 구절도 해석에 여러 의견이 존재한다.

  1. 왕세자 설: 이를 백제의 왕세자 이름(귀수나 구수)으로 보기도 하지만 문맥상 부자(父子) 관계를 중복해 언급하는 점이 어색하다는 반론이 있다.
  2. 불교적 해석: ‘성스러운 소리’를 부처의 설법으로 해석하며, 칠지도가 불교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본다. 칠지도의 ‘7개의 가지’도 불교의 ‘칠각지(七覺支)’를 상징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3. 도교적 해석: 칠지도와 관련된 도교적 상징성을 강조하며, 도교의 수목 숭배나 신선 사상을 반영한 유물로 해석하기도 한다.

백제 왕실의 종교적 배경이 칠지도 제작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며, 이를 통해 백제와 왜의 교섭에서 종교적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칠지도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

칠지도는 단순한 무기라기보다는 백제와 왜 간의 외교적, 종교적, 상징적 의미를 담은 유물이다.

이 칼의 발견은 한일 관계사 연구에 큰 도움을 주었으며, 특히 4세기 백제와 왜의 외교적 연대를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그러나 명문 해석과 제작 시기와 같은 세부 사항들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역사적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칠지도를 통해 우리는 고대 동아시아의 외교 관계, 종교적 신앙, 문화적 교류를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한일 양국의 학문적 관심과 협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칠지도(七支刀)
칠지도(七支刀)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