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제 관모
전형적인 신라의‘고깔 형태의 관’이다. 고깔은 다양한 무늬를 새긴 여러 조각의 금판을 이어 붙여 만들었다. 주된 무늬는 맞새김으로 새긴 용과 C자, T자, 그물 무늬이다. 꼭대기는 두 장을 맞붙여 만들고, 가운데는 한 장의 금판을 절반 접어 이어붙였고, 아래는 또 한 장의 금판을 가운데 것과 같이 접어서 붙였다. 가운데 및 아래의 금판에서 접힌 부분은 고깔의 뒤쪽 외곽선이므로 무늬를 새기지 않았다. 두 금판의 위쪽에는 눈금을 새긴 좁은 금띠를 대갈못으로 박아 덧대었다. 이 금띠는 금판과 금판 사이의 이음매를 가리기 위한 것이다. 꼭대기의 가장자리에는 금테두리를 덧씌웠고, 가운데 금판에는 뒤쪽에 볼록 장식을 덧대었다. 앞쪽의 오각형 장식은 T자 무늬를 맞새김한 바탕과 가운데의 그물무늬를 맞새김한 네모꼴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