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전래와 공인: 삼국의 사상적 기반 형성
1. 서론불교는 인도에서 발생하여 중국을 거쳐 동아시아로 전파된 외래 종교로, 삼국 시대의 사상적·문화적 기반이 되었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국가 체제가 정비되면서 불교는 공인되었고, 이는 각 왕조의 정치적 안정과 왕권 강화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각 나라의 불교 공인 과정에는 시간적 차이와 특유의 갈등이 존재했다. 2. 4세기 후반의 불교 전래와 고구려·백제의 공인2.1 고구려의 불교 공인 (372년)고구려는 삼국 중 가장 먼저 불교를 공인했다. 372년(소수림왕 2년), 중국 전진(前秦)의 부견(符堅) 황제가 사신과 승려 순도(順道)를 파견하며 불상과 경문을 전달한 것이 계기였다. 이후 374년에는 승려 아도(阿道)가 고구려에 도착했고, 왕은 초문사(肖門寺)와 이불란사(伊弗蘭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