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고국천왕(故國川王): 왕권 강화와 백성을 위한 통치자

삼국사기 고국천왕 기사
삼국사기 고국천왕 기사

개요

고국천왕(故國川王, ?~197)은 고구려 제9대 왕으로, 179년부터 197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왕권을 강화하고 백성의 복지를 위한 제도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된다. 특히 을파소라는 뛰어난 인재를 중용해 국가를 발전시켰으며, 진대법(賑貸法)을 시행해 어려움에 처한 백성을 구제했다.

 

가계와 생애

고국천왕은 시조 주몽의 5세손이며 본명은 남무(男武)다. 삼국사기에는 그가 신대왕(新大王)의 둘째 아들이며 형 발기(拔奇)와의 왕위 다툼 끝에 왕위에 올랐다고 전한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른 기록으로, 발기와의 갈등은 고국천왕의 동생 산상왕 즉위 때 벌어진 사건일 가능성이 크다.

고국천왕(故國川王, ?~197)
고국천왕(故國川王, ?~197)

고국천왕은 키가 9척(약 210cm)에 달할 정도로 장신이었으며, 외모와 성품에서 문무를 겸비한 군주로 묘사된다. 그는 신대왕 재위 12년(176년)에 태자로 책봉되었고, 부왕이 사망한 179년에 왕위에 올랐다.

 

왕비는 연나부(椽那部) 출신의 우씨(于氏)였으며,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왕위는 동생 연우(延優)가 잇게 되었다. 연우는 왕위에 오른 후 형수였던 우씨와 혼인하는 형사취수혼(兄死娶嫂婚) 관습을 따랐다.

 

왕권 강화와 을파소의 등용

5부 연합체의 한계와 왕권 강화 필요성

고구려는 다섯 부(部)가 독립적으로 자치하며 연합한 국가 구조였다. 이는 초기에 국력 증진에 도움이 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며 중앙 집권적 통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외부의 군사적 위협이 커지면서 하나로 통합된 강력한 정치체제가 요구되었다.

고국천왕은 왕권 강화를 위해 각 부의 독립성을 약화시키고 왕을 중심으로 한 통합된 국가를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연나부의 수장 우소(于素)의 딸을 왕비로 맞아 정치적 동맹을 강화했지만, 점차 연나부마저도 왕권 아래 예속시키고자 했다.

 

을파소의 중용
을파소의 중용

을파소의 중용

고국천왕은 각 부에 대표 인재를 추천하라고 명령하여 정치적 통합을 꾀했다. 이에 동부에서 안류(晏留)를 추천했으나, 안류는 자신의 부족함을 이유로 을파소(乙巴素)를 대신 추천했다.

을파소(乙巴素)
을파소(乙巴素)

을파소는 농사에 전념하던 인물이었으나, 왕은 그의 능력을 높이 사 국정 운영을 맡기고자 했다. 처음에 을파소는 중외대부(中畏大夫) 직위로는 원하는 국정을 펼칠 수 없다며 고사했지만, 고국천왕은 그를 최고 관직인 국상(國相)으로 임명해 전권을 부여했다. 이는 5부 합의제에서 벗어나 왕권 중심의 통치 체제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을파소는 왕의 뜻을 충실히 따르며 고구려를 부강하게 이끌었고, 그의 통치 방침에 반발하는 세력에게는 강력한 경고를 했다. 왕은 을파소의 명령을 어기는 자는 왕명을 어기는 것과 같다고 선언하며 단호한 태도로 내부의 반발을 제압했다.

 

백성 구제를 위한 진대법(賑貸法)

진대법 시행 배경

194년(고국천왕 16) 가을, 서리 피해로 인해 농작물이 크게 손실되자 백성들은 굶주림에 시달리게 되었다. 고국천왕은 창고를 열어 백성들에게 식량을 나누어 주며 구제에 나섰다. 또한 길에서 만난 한 백성이 어머니를 부양할 일자리를 잃고 울고 있는 사연을 듣고 백성들의 삶에 관심을 기울이며 추가적인 구제책을 마련했다.

[고국천왕 16년(194)] 겨울 10월 왕이 질양(質陽)으로 사냥을 나갔다 길에 앉아서 울고 있는 자를 보고, “어찌하여 우는가?” 하고 물었다. 대답하기를 “신은 매우 가난하여 늘 품팔이를 하여 어머니를 부양하여 모셔 왔는데 올해는 곡식이 자라지 않아 품팔이할 곳이 없고, 한 되 한 말의 곡식도 얻을 수 없어 이 때문에 울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아! 내가 백성의 부모가 되어 백성을 이 지경에까지 이르도록 하였으니 나의 죄가 크다.”라고 하고, 옷과 음식을 주어 위로하였다. 이에 내외의 담당 관청에 명하여 홀아비⋅과부⋅고아⋅홀로 사는 노인⋅늙어 병든 자⋅가난하여 스스로 살아갈 수 없는 사람들을 널리 찾아서 구휼(救恤)하도록 하였다. 또한 담당 관청에 명하여 매년 봄 3월부터 가을 7월까지, 관의 곡식을 내어 집안 식구[家口]의 많고 적음에 따라 차등 있게 곡식을 꿔주도록(賑貸) 하고, 겨울 10월에 이르러 갚게 하는 것을 법식으로 삼았다. 나라 사람 모두가 모두 크게 기뻐하였다.

진대법의 도입과 의의

고국천왕은 이러한 일회성 구제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인 복지 제도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시행된 것이 진대법(賑貸法)이다. 진대법은 춘궁기(春窮期)인 3월에서 7월까지 국가가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 수확 후인 10월에 이를 갚도록 하는 제도였다.

진대법(賑貸法)
진대법(賑貸法)

진대법은 백성을 위한 경제적 안정책인 동시에 정치적 의미를 담고 있었다. 기존의 고구려 백성은 자신이 속한 부의 수장에게 예속되었으나, 진대법을 통해 백성들이 왕의 보호와 통제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는 왕권 강화를 위한 중요한 조치로, 고구려 백성들이 하나의 국가적 정체성 아래 통합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진대법(賑貸法)
진대법(賑貸法)의 의미

 

고국천왕 부재설과 무덤에 얽힌 이야기

고국천왕 부재설

중국의 기록에는 고국천왕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그 실존을 부정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삼국지』에는 신대왕 사후 왕위 계승 다툼에서 산상왕이 즉위했다고 기록되어 있어 고국천왕이 실재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삼국사기』와 광개토대왕릉비 등의 고구려 자체 기록을 통해 고국천왕의 존재가 분명히 확인된다. 중국 기록의 부정확성은 여러 사례에서 확인되기 때문에 고국천왕 부재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고국천왕릉에 얽힌 설화

고국천왕의 무덤은 고국천원(故國川原)에 위치한 것으로 전해진다. 흥미로운 점은 고국천왕의 사후, 그의 왕비 우씨가 동생 산상왕과 재혼한 후 산상왕 옆에 묻혔다는 설화다.

234년(동천왕 8) 우씨가 사망한 후, 고국천왕의 혼령이 무당을 통해 자신의 무덤을 가려달라고 요청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는 고국천왕이 역사 속 실재 인물임을 확인해주는 동시에 당시 고구려인들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다.

 

결론

고국천왕은 단순한 통치자를 넘어 고구려의 체제 변화를 이끈 중요한 인물이었다. 왕권을 강화하며 5부 연합체를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시켰고, 을파소와 같은 인재를 중용해 국정을 이끌었다. 또한 진대법을 통해 백성을 구제하며 사회적 안정을 도모했다.

고국천왕의 통치는 단순한 정치적 업적에 그치지 않고, 고구려의 정체성과 통합을 이루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의 노력은 고구려가 이후 더욱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는 토대를 마련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