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철정(鐵鋌): 철 화폐로 경제와 권력을 장악하다

철정(鐵鋌): 철 화폐로 경제와 권력을 장악하다

 

1. 철의 등장과 고대 사회의 변화

철(鐵)은 인류 문명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금속이다. 철기의 등장은 농업과 전쟁, 상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이끌며 사회 구조를 새롭게 재편했다. 특히 철기는 농기구와 무기로 활용되며 생산력 증대와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다. 고대 사회에서 철 자원의 소유는 단순한 경제적 의미를 넘어 권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철광석을 제련해 만들어진 철제품은 무기, 갑옷, 도구뿐만 아니라 특정 형태의 철 화폐, 즉 철정(鐵鋌)으로 사용되었다. 철정은 철을 단순한 자원이 아닌 실물화폐로 활용한 고대의 중요한 경제 활동을 반영한다.

 

2. 무덤에 부장된 철정과 그 의미

무덤 속에 부장된 철정과 철제품들은 당시 권력 구조와 경제 시스템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는 신라의 탈해가 대장장이로서 권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철을 다루는 능력은 단순한 기술 이상의 정치적 의미를 가졌던 것이다.

철정(鐵鋌): 철 화폐로 경제와 권력을 장악하다

고대 무덤에서는 철정과 단야구(鍛冶具)와 같은 철제 유물들이 다량 발견되었다. 경주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약 3,200여 점의 철제품과 철정은 철 자원이 신라의 정치, 경제적 힘의 원천이었음을 상징한다. 특히 무덤에 깔린 철정은 단순한 장식이 아닌 권력과 부를 나타내는 상징물로 여겨졌다.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는 철광석 자체를 무덤에 부장한 사례가 확인되는데, 이는 철의 가치를 극대화해 보여주는 예다. 철 생산과 연관된 무덤에서는 철정 외에도 철기 제작 도구가 다수 발견되어 당시 전문 대장장이 집단의 존재를 암시한다.

 

3. 철을 다루는 공인과 제철 유적

철의 제련과 가공을 담당한 공인 집단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 경주 황성동 유적과 밀양 사촌유적은 당시 대규모 제철 산업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밀양에서는 7기의 제련로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철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철 제련의 핵심은 목탄이었으며, 이를 생산하기 위한 탄요(炭窯)도 여러 유적에서 발견된다. 김해와 창원 지역에서 발견된 탄요는 철 제련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중심지임을 증명한다.

울산 달천광산은 신라 시대와 조선 시대까지 중요한 철 생산지로 활용되었다. 이곳에서 채취한 철광석은 경주 황성동 유적에서 발견된 철의 원료와 일치하는 성분을 보인다. 이러한 유적들은 신라와 가야가 철을 활용해 경제적, 군사적 우위를 확보했음을 말해준다.

 

 

4. 철정의 국제 교역과 실물화폐로서의 가치

고대 한국의 철정은 중국과 일본과의 교역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삼국지(三國志)』에 따르면 낙랑과 대방은 변한으로부터 철을 수입했으며, 이 철이 마치 화폐처럼 사용되었다고 한다. 또한 『일본서기(日本書紀)』에서는 백제의 근초고왕이 철정 40매를 일본 왕에게 선물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철정은 철제품 제작의 중간 소재이자 교역품으로 사용되었다. 김해와 부산을 중심으로 한 가야 지역에서 철정의 80%가 출토된다는 점은, 이 지역이 철 자원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가야는 일본과의 교역을 통해 철을 수출하며 경제적 이익을 창출했다. 일본은 철 생산이 가능했지만 가야에서 들여온 철정에 의존할 정도로 생산 능력이 부족했다.

 

5. 결론

철정은 단순한 철덩이를 넘어 고대 한국 사회의 권력과 경제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자산이었다. 무덤 속 철정과 단야구는 철 자원의 확보와 활용이 국가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가야와 신라는 철 자원을 바탕으로 주변 국가들과 교역을 확대하며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다. 철정은 규격화된 실물화폐로서 국내외 교역의 중심에 있었고, 이는 당시 철의 가치와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오늘날 철의 중요성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고대 사회에서 철정이 단순한 물질을 넘어 권력과 경제력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철의 의미는 현대와는 다른 차원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참고 문헌

  • 국립김해박물관 e뮤지엄
  • 『삼국유사』, 『삼국지』, 『일본서기』
  • 경주 황남대총, 밀양 사촌유적 발굴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