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신라 금관[新羅 金冠]: 황금빛 미학의 결정체

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 북분 금관

 

1. 개요

금관은 신분을 상징하는 최상위 계층의 과시용 장신구로, 신라에서 왕이나 귀족의 권위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물품이었다. 신라의 관(冠)은 사용된 재질에 따라 금관, 금동관, 은관, 동관으로 구분된다. 초기에는 은관이 사용되었으며, 동관은 말기에 잠시 등장했다. 신라 금관의 특징은 머리둘레를 감싸는 관테 위로 나뭇가지 모양의 가지나 사슴뿔 형태의 장식을 세운 점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신라 금관은 모두 다섯 점으로, 황남대총 북분, 금관총, 서봉총, 금령총, 천마총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금관들은 관테에 달개 장식과 곱은옥을 매달아 화려하게 꾸며졌으며, 관 아래로 굵은 고리 드리개를 늘어뜨리는 것이 특징적이다.

한편 경주 교동에서 출토된 작은 금관은 전형적인 형태와 차이를 보이는데, 장식이 단출하며 머리둘레가 작아 성인용이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2. 황금에 대한 욕망, 금관의 발견

신라 금관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1년이었다. 경주 노서리에서 한 일본 순사가 아이들이 흙 속에서 구슬을 찾는 모습을 목격하면서 유물의 존재가 드러났다. 이후 여러 비전문가에 의해 금관총(金冠塚)이 발굴되었지만, 무덤의 구조에 대한 중요한 정보는 제대로 기록되지 못했다.

금관총(金冠塚)
금관총(金冠塚)
금관총(金冠塚)금관총(金冠塚)

금관총에서 나온 고리자루큰칼의 명문은 무덤 주인공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2013년 보존 작업 중 칼집 끝에서 발견된 '이사지왕(尒斯之王)'이라는 글자는 무덤 주인공이 자비왕 또는 소지왕일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무덤의 규모와 출토 위치를 고려할 때 왕족이나 귀족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후 1924년 금령총(金鈴塚)에서 두 번째 금관이 발견되었으며, 작은 크기와 곱은옥이 없는 장식으로 보아 아이의 것으로 추정된다. 1926년에는 서봉총에서 세 번째 금관이 출토되었다. 이 금관은 3단의 가지와 봉황 장식을 특징으로 하며, 스웨덴 황태자의 방문을 기념해 서봉총(瑞鳳塚)이라 명명되었다.

 

3. 금관은 누구의 전유물이었을까?

신라 금관은 마립간(왕)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나, 발굴된 사례를 통해 일정 범위의 왕족과 귀족들도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황남대총 북분과 같은 대형 무덤에서는 여성이 금관을 썼으며, 금령총에서는 아이의 금관이 출토된 점에서 금관은 단순히 왕의 전유물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 금관[新羅 金冠]

지방 세력이나 왕족들은 금이 아닌 금동관이나 은관을 착용한 사례가 많았다. 이는 마립간이 중앙 집권을 이루려는 과정에서 귀금속 장신구를 통한 지배층 간의 유대 유지를 시도했음을 보여준다.

 

4. 변화하는 금관의 형태

신라 금관5세기에서 6세기로 갈수록 변화하고 발전한다. 금관의 관테에 세운 가지 장식, 달개, 곱은옥 장식 등의 요소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천마총의 금관은 ‘山’ 모양 장식이 4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달개 장식의 개수도 382개로 늘어나 화려함의 정점을 이룬다.

신라 금관[新羅 金冠]

또한 금관의 드리개 장식은 황남대총 북분에서 좌우에 3쌍이 달렸을 정도로 화려하지만, 금령총과 천마총의 드리개는 가는 고리 1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금동관과 동관으로 단순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금관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5. 금관은 왕의 관인가, 죽은 자의 가면인가?

금관이 실제로 왕이 착용한 생활용 관이라기보다는 의례용 관이나 장례 의식의 일환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발굴된 금관의 상태가 불안정하며, 천마총과 황남대총에서는 금관 아래에 목을 감싸는 가슴 꾸미개가 있어 금관을 얼굴 아래까지 썼다는 추정이 가능하다.

신라 금관[新羅 金冠]

발에 신겨진 금동신발도 바닥에 징이 박혀 있는 형태로 실제 사용이 불가능한 장례 의식용 신발이었다. 최근 황남동에서 발견된 금동관은 관을 얼굴에 쓰지 않고 가면처럼 덮은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이는 금관이 생전이 아닌 사후 의식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신라 금관[新羅 金冠]

 

6. 결론: 신라 금관의 상징과 유산

신라의 금관은 단순한 왕의 상징을 넘어, 당시 사회의 복식문화와 지배 체제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신라 금관은 권위와 신분을 드러내는 도구였으며, 이를 통해 중앙과 지방 간의 유대와 갈등을 조율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까지 화려한 금관 문화는 천마총 금관을 정점으로 점차 단순화되었고, 금동관과 동관으로 변화했다. 이처럼 신라 금관은 문화의 변화와 권력 구조의 변동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로, 현대에도 그 가치가 빛난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