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신라 호우총에서 출토된 고구려 광개토왕 제례품: 호우명 청동 그릇

호우명 청동 그릇
호우명 청동 그릇

1. 개요

호우명(壺杅銘) 청동 그릇은 1946년, 경주 노서동 140호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에서 발굴된 유물로, 무덤의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이 유물은 바닥에 새겨진 “乙卯年國崗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이라는 명문으로 인해 주목받았습니다. 이는 고구려의 광개토대왕(廣開土大王)을 기리기 위해 415년(을묘년)에 제작된 열 번째 제례용 그릇임을 의미합니다.

호우명(壺杅銘) 청동 그릇 乙卯年國崗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
호우명(壺杅銘) 청동 그릇 乙卯年國崗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

해당 그릇은 고구려가 신라와의 관계를 중시했던 역사적 맥락을 상징하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400년, 신라가 백제와 왜(倭)의 침략을 받았을 때 광개토왕은 5만 병력을 파견해 신라를 구원했고, 이후 신라와 고구려 간의 정치·문화적 교류가 깊어졌습니다. 이 호우명 그릇은 이러한 국제관계의 산물이자, 신라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증거로 평가됩니다.

 

2. 호우총의 고고학적 조사

2.1. 호우총의 위치와 조사 배경

호우총은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에 위치한 적석목곽묘로, 1946년 한국인 주도 아래 발굴되었습니다. 해방 직후 이루어진 이 조사는 일제강점기와의 단절된 고고학 역사를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이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경험 부족으로 인해 일제강점기에 발굴 경험이 있었던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一)의 도움을 받는 씁쓸한 상황도 발생했습니다.

호우총과 인접한 은령총은 원래 두 민가가 있던 곳에 위치해 있었으며, 무덤의 외부는 이미 삭평된 상태였습니다. 발굴 결과 호우총은 땅을 파고 나무덧널(목곽)을 설치한 후 냇돌로 무덤을 쌓아 올리는 신라식 적석목곽묘로 확인되었습니다.

2.2. 구조와 부장품 배치

호우총은 동서 길이 7.3m, 남북 너비 4.5m, 깊이 2m에 이르는 대형 무덤이었습니다. 내부는 40㎝ 두께로 깔린 자갈 위에 목곽이 설치되었고, 목곽 내부에는 피장자의 시신과 함께 다양한 장신구와 무기류가 부장되었습니다.

  • 피장자 장신구: 금동관, 금제 세환식 귀걸이, 금동 허리띠, 금제 팔찌와 반지, 구슬 목걸이
  • 무기류: 백제와 가야에서 유행한 환두대도
  • 기타 부장품: 금동신발, 화살통, 철솥, 칠기, 마구류

특히 피장자의 머리맡에는 호우명 청동 그릇이 별도로 놓여 있어 이 그릇이 피장자와 매우 중요한 관계에 있었음을 암시합니다.

 

3. 호우명 청동 그릇

3.1. 그릇의 구성과 명문

호우명 청동 그릇은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이 10.3㎝, 최대 지름 23.8㎝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뚜껑 중앙에는 연꽃무늬와 함께 보주형(寶珠形) 꼭지가 부착되었습니다. 그릇의 바닥면에는 ‘乙卯年國崗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 명문은 광개토왕의 죽음 이후인 415년에 왕의 추모와 제례를 위해 제작된 제사용 그릇임을 의미합니다.

이 청동 그릇은 중국 지안(集安)의 칠성산 96호 고구려 무덤에서도 유사한 형태가 출토된 바 있으며, 이는 고구려의 제기 양식이 신라까지 전달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경주의 무덤에서 발견된 이 고구려 유물은 두 나라의 밀접한 관계를 잘 보여줍니다.

 

4.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와 호우총의 의미

호우명 청동 그릇은 신라와 고구려의 국제 관계를 잘 반영하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신라는 내물왕(奈勿王) 시기부터 고구려와 동맹 관계를 맺고 군사적 지원을 받았습니다. 광개토왕은 400년에 신라를 침공한 가야와 왜를 격파하고 신라를 도왔으며, 이로 인해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는 더욱 돈독해졌습니다.

황남대총 고구려 양식의 금귀걸이
황남대총 고구려 양식의 금귀걸이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 속에서 경주에서 고구려 유물이 다수 발견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대표적으로 금관총에서 출토된 청동 항아리와 황남대총 북분의 금귀걸이, 금동 신발 등이 있습니다. 특히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고구려 양식의 금귀걸이는 신라 양식과는 다른 간결한 장식을 보여주며, 두 문화의 차이점을 드러냅니다.

 

5. 호우명 청동 그릇의 역사적 해석

호우명 청동 그릇의 제작 연도인 415년(을묘년)을 바탕으로 무덤의 주인을 광개토왕 사후 고구려에 인질로 갔다가 돌아온 신라의 왕족 복호(卜好)로 추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호우총에서 출토된 신라 토기의 연대가 6세기 초임이 확인되면서, 청동 그릇은 제작 후 약 100년이 지난 시점에 신라 무덤에 부장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는 고구려 제기(祭器)가 신라로 전달된 후 오랜 시간 전승되었다는 의미입니다.

 

6. 결론: 호우명 청동 그릇의 의의

호우명 청동 그릇은 고구려와 신라의 정치·문화적 교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단순한 제기(:제사(祭祀) 때에 쓰이는 그릇) 그 이상으로, 두 국가의 밀접한 관계와 상호작용을 상징하는 중요한 실물 자료로 평가됩니다. 고구려의 왕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그릇이 신라 왕족의 무덤에 부장된 사실은 당시 두 나라 사이의 동맹과 신뢰를 잘 보여줍니다.

경주 지역에서 발견된 고구려 유물들은 단순한 전리품이 아니라 고구려와 신라 간의 문화 교류와 정치적 동맹의 산물이었습니다. 이러한 유물들은 고대 동아시아의 복잡한 외교 관계와 문화적 연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호우명 청동 그릇은 오늘날까지도 고대사의 비밀을 푸는 열쇠로 남아 있으며,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