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장군총[將軍塚] – 천 육백 년을 견뎌온 고구려의 거대 무덤

장군총[將軍塚]
장군총[將軍塚]

개요

장군총(將軍塚)은 오늘날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에 위치한 고구려의 대형 적석총(돌무지무덤)입니다. 이 무덤은 고구려 적석총의 발전된 형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 중 하나로, 고구려의 왕릉 가운데 가장 잘 보존된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학계에서는 장군총이 4~5세기경 축조된 것으로 추정하며, 무덤의 주인을 광개토왕 혹은 장수왕으로 보고 있습니다.

 

장군총(將軍塚)
장군총(將軍塚)

고구려의 전기를 대표하는 무덤 양식, 적석총

1. 적석총의 기원과 특징

고구려 초기 무덤 양식을 대표하는 적석총돌을 쌓아 올려 만든 돌무지무덤입니다. 이 무덤은 압록강 중하류와 혼강 유역에 다수 분포하며, 고구려의 독자적인 매장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석총에서는 주로 지면을 평탄하게 다지고 돌을 깔아 시신을 안치한 후 돌을 덮는 방식으로 시신을 보호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고구려의 중심지였던 졸본(현 중국 환런현)과 국내성(지안시) 일대에서 주로 확인됩니다.

고구려의 적석총은 석광 시설(돌 구덩이), 석곽 시설(돌 상자), 석실 시설(합장이 가능한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습니다. 초기에는 돌무지 형태의 간단한 무덤에서 시작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기단 적석총계단 적석총으로 변화했습니다. 장군총은 이러한 계단식 적석총의 최종 발전형으로 평가됩니다.

 

2. 고구려 적석총의 발전 단계

고구려의 적석총은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발전했습니다. 그 변화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기원전 2세기 ~ 기원후 1세기: 단순한 돌무지 형태의 무기단 적석총이 주류를 이룸.
  • 기원후 1세기 ~ 3세기: 무덤에 기단을 두른 기단 적석총 등장.
  • 3세기 이후: 계단 적석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며, 무덤 축조 기술이 정교해짐.
  • 4세기 이후: 태왕릉, 천추총, 장군총과 같은 왕릉급 거대 적석총이 출현.

4세기 이후 거대 적석총의 등장은 고구려의 강력한 왕권과 국력을 상징합니다. 그중 장군총은 고구려 적석총 양식의 절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고구려 적석총의 최종 형태, 장군총

1. 장군총의 구조와 축조 방식

장군총은 지안시 국내성 유적지에서 약 7.5km 동쪽에 위치하며, 용산(龍山)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무덤은 계단식 적석 석실분의 형태로, 총 7층 계단으로 구성된 거대한 적석총입니다. 각 계단은 잘 다듬어진 화강암으로 쌓아 올려졌으며, 돌 하나의 길이는 2.4~3.5m, 폭은 0.9m 내외로 비교적 일정한 크기입니다.

무덤은 총 높이 12.4m, 한 변의 길이가 31.5m에 달합니다. 각 계단을 쌓을 때 안쪽으로 약간씩 들여 쌓아 안정감을 주며, 무덤 하층부에는 무게를 분산하기 위해 커다란 돌 3개가 기대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1,177매의 석재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31매가 소실되었습니다.

7층 계단 위에는 백회(石灰)를 섞은 흙이 덮여 있었고, 난간을 세웠던 흔적으로 보이는 둥근 홈이 계단 둘레에 남아 있습니다. 이는 목조 난간이나 건축물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 내부 석실과 시신 안치 방식

장군총의 내부 널방(묘실)은 3층 계단 위부터 시작해 5층 계단과 연결됩니다. 널방의 벽은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로 쌓여 있으며, 평행 고임을 한 후 한 장의 돌로 천장을 덮었습니다. 내부는 강돌과 황토로 봉해져 빗물 침투를 막았고, 바닥에는 두 개의 관대(시신을 안치하는 틀)가 동서 방향으로 배치되었습니다. 널방의 널길에는 문을 달았던 흔적도 발견됩니다.

 

장군총 주변의 배총과 제사 시설

1. 배장묘(배총)와 제대 유구

장군총 주변에서는 두 기의 배장묘(배총)제대 시설(제사 장소)가 확인되었습니다. 배장묘는 장군총과 마찬가지로 계단식 적석총의 형태이지만 규모는 작습니다. 1호 배장묘는 장군총에서 북동쪽으로 약 43m 떨어져 있으며, 이곳에서 기와와 철제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2호 배장묘는 북쪽 35m 지점에 위치하며, 말발굽과 같은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전해집니다.

제대 시설은 2호 배장묘와 인접해 있으며, 돌을 가지런히 놓아 만든 장방형 평면 구조입니다. 제대 유구에서는 금동신발금동권(쇠고리) 같은 유물도 발견되어 왕릉과의 관련성을 보여줍니다.

2. 능원(陵園)과 부속 건물

장군총 주변에는 담장 시설의 흔적이 일부 남아 있어, 원래 능원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서남쪽에서 붉은색 기와와 와당이 출토된 건물지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장군총과 관련된 부속 건물로 추정됩니다.

 

장군총의 주인에 대한 논쟁

장군총의 주인에 대해서는 크게 광개토왕장수왕 두 가지 설이 대립합니다.

  • 광개토왕릉설:
    • 장군총이 위치한 국내성 지역은 광개토왕의 지배 시기와 맞물립니다.
    • 고구려에서 생전에 무덤을 조성하는 수릉제가 시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장군총이 광개토왕의 무덤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 장수왕릉설:
    • 장수왕이 평양 천도 이전에 본인의 무덤을 미리 조성한 수릉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 인근에 위치한 태왕릉이 광개토왕릉이라는 주장과 함께 장군총을 장수왕릉으로 보는 의견이 많습니다.

 

 

결론

장군총은 고구려 적석총 양식의 정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당시 고구려의 왕권과 국력을 상징합니다. 비록 장군총의 주인에 대해 광개토왕장수왕 중 누구인지를 두고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만, 이 거대한 무덤은 고구려의 건축 기술과 정치적 위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