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99년에서 2000년으로 넘어가는 시점, 세상은 새로운 천년이 시작됨을 맞아 들썩였습니다. 마치 신천지의 도래처럼 사람들은 큰 변화를 기대했지만, 실상은 단순히 연도의 앞자리가 1에서 2로 바뀐 것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수천 년 전,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전환은 어떤 변화였을까요? 코로나19와 같은 극적인 변화였을까요, 아니면 우리의 새 천년과 같이 상징적인 변화였을까요?
아우라지 유적에서는 덧띠문토기와 함께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기가 출토되어 진정한 청동기시대가 시작된 것을 알린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강원도 정선의 아우라지 유적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유적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문화를 잇는 중요한 증거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우라지 유적에서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기와 덧띠문토기라는 중요한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유물들은 청동기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보여줍니다.
2. 정선 아우라지 유적
강원도 정선에 위치한 아우라지 유적은 남한강 상류에 자리한 평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신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사람들이 거주했던 곳입니다. 이 지역에서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는 무려 63곳이 발굴되었으며, 대부분 자연제방을 따라 일렬로 나란히 위치해 있습니다.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는 긴 네모꼴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돌이나 흙으로 만든 화덕이 있습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덧띠문토기, 겹아가리토기, 골아가리무늬와 구멍무늬가 새겨진 민무늬토기 등이 있으며, 돌로 만든 화살촉, 반달돌칼, 간돌칼 등의 석기들도 다수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아우라지 유적은 청동기시대 초기에 속하는 유적지로, 농경 사회가 시작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시기 사람들은 논농사인지 밭농사인지는 분명치 않지만, 벼를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더 안정된 식량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소유와 계층 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여량리 17호 집자리에서 발견된 청동 장신구는 당시 사회적 분화의 증거로 볼 수 있습니다.
3. 청동기시대의 개시와 덧띠문토기문화
한반도에서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전환되는 시기는 대략 기원전 15세기 무렵으로 추정됩니다. 이 시기 문화의 대표적인 특징은 덧띠문토기입니다. 덧띠문토기는 한반도 남부의 다양한 유적에서 출토되었으며, 이는 청동기시대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적 유물입니다.
덧띠문토기문화는 중국 요동이나 압록강 중상류에서 남하한 문화가 한반도의 신석기 말기 문화와 융합되면서 발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시기의 주거지는 네모 또는 긴 네모 형태를 하고 있으며, 덧띠문이 새겨진 항아리와 함께 다양한 토기들이 출토됩니다. 청동기시대 초기는 아직 군사적 지배자의 상징물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였으며, 사회적 계층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전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정선 여량리 17호 집자리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보면 당시 사람들이 나무를 도끼로 베어 땔감을 마련하거나, 반달돌칼로 곡식을 수확하고, 화살촉을 사용해 사냥을 했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특히, 이곳에서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장신구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13~1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청동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청동기의 제작에는 전문적인 장인집단이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청동기를 소유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의 사회적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덧띠문토기문화가 청동기를 통해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들의 신분을 나타내기 시작한 첫 단계였음을 보여줍니다.
4. 세계사적 견지에서 본 청동기시대
청동기시대라는 개념은 덴마크의 고고학자 크리스티안 율겐센 톰센이 처음 주창한 삼시기법에서 유래합니다. 톰센은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로 선사시대를 구분하였으며, 이는 도구의 재질을 기준으로 한 구분이었습니다. 이후 고든 차일드는 청동기시대를 도구의 재질뿐만 아니라 사회적 변화의 측면에서도 구분하였으며, 청동기시대의 시작을 바퀴의 사용, 금속의 사용, 국제 교역, 전문 직업의 출현으로 설명했습니다.
한반도에서 청동기시대 연구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와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의 차이를 통해 발전해 왔습니다. 초기 청동기시대에는 청동기 유물이 출토되지 않고 토기만 확인되는 경우도 많았으므로, 일부 학자들은 이 시기를 '무문토기시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나 청동기시대는 농경과 함께 본격적인 사회적 불평등이 시작되었고, 이는 지배자의 신분 세습과 같은 사회 구조로 이어지게 됩니다.
청동기시대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경제적 변화와 함께 사회적 구조가 점차 복잡해졌습니다. 지도자의 지위가 세습되기 시작하고, 공동체 내에서의 신분 차이가 나타나면서 청동기시대는 신석기시대와 구별되는 사회로 자리잡았습니다.
5. 덧띠문토기문화 사회
덧띠문토기문화 사회는 농경을 중심으로 형성된 작은 집단 사회였습니다. 이들은 경작지를 확보하고 농경에 필요한 노동력을 혈연을 기반으로 조정하였습니다. 이러한 사회는 10채 이하의 소규모 마을로 구성되었으며, 각 마을은 몇 개의 세대공동체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이 시기의 주거지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는 여러 개의 화덕이 있는 경우가 많아 공동체가 함께 생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사회적 불평등이 아직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상태였지만, 덧띠문토기문화는 청동기 소유를 통해 개인 간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줍니다.
덧띠문토기문화는 농경을 바탕으로 정착 생활이 시작되었고, 청동기를 소유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 간의 차별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사회였습니다. 이는 한반도에서 청동기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사적 시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관련 링크
- 국립청주박물관 아우라지 유적 전시 정보
- 정선 아우라지 유적 발굴 조사 보고서
'Education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양 남경 유적, 오곡 농사를 짓던 고조선 사람들의 보금자리 (0) | 2024.10.11 |
---|---|
시퇀산[西團山] 문화 : 예맥족이 세운 부여의 기층문화 (0) | 2024.10.11 |
솽퉈즈[雙砣子] 유적 : 압록강 유역 선사문화와의 관계 (0) | 2024.10.11 |
진주 대평 유적과 번개무늬 토기의 미스터리 (0) | 2024.10.11 |
무산 범의구석 유적, 북한 고고학에 과학적 연구 방법 도입의 시작 (0) | 2024.10.11 |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 (0) | 2024.10.10 |
서울 암사동 유적, 을축년 대홍수로 드러난 신석기 시대 대규모 마을 유적 (0) | 2024.10.10 |
양양 오산리 유적 신석기인, 석호와 바다를 터전으로 삶다 (0)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