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시퇀산 문화는 중국 동북 지역을 대표하는 청동기 시대 문화로, 한국사의 두 번째 국가인 부여가 형성될 수 있었던 기층문화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문화는 1948년 둥베이(東北) 대학 조사단이 지린(吉林) 시 시퇀산 유적을 발굴하면서 새로운 문화 유형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시퇀산 문화는 예맥족과 부여의 형성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한국 고대사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시퇀산 문화의 조사와 범위
시퇀산 문화의 유적 조사는 일제강점기 1930년대부터 이루어졌지만, 본격적인 발굴과 연구는 194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습니다. 지린을 중심으로 한 시퇀산 문화 유적 조사에는 리워신(李文信)과 퉁주천(佟柱巨) 등 중국 연구자들이 참여하였으며, 1970년대 이후에는 조사 범위가 지린 외곽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무덤의 구조와 형식, 껴묻거리(부장품), 묻힌 사람들의 생업 경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시퇀산 문화의 분포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쪽으로는 장광차이링(張廣才嶺)과 웨이후링(威虎嶺) 서쪽, 서쪽은 이퉁허(伊通河)와 둥랴오허(東遼河) 유역, 남쪽은 혼허(渾河)와 둥랴오허 유역, 북쪽은 라린허(拉林河) 유역 중·상류 지역을 포함합니다. 특히 지린과 용지(永吉) 지역에서 많은 유적이 조사되었으며, 제2쑹화강과 인마허(飲馬河), 후이파허(輝發河) 주변 평야지대와 구릉지대에 유적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시퇀산 문화와 관련된 유적은 약 430곳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중 120곳 이상이 발굴되었습니다. 이 유적들 중에는 돌널무덤이 주로 확인되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지린 시의 시퇀산 유적, 허우스산(猴石山) 유적, 창서산(長蛇山) 유적, 용지 싱싱사오(星星哨) 유적이 있습니다.
3. 시퇀산 문화의 대표 유적
시퇀산 유적
지린 시 서남쪽에 위치한 시퇀산 유적은 돌널무덤 49기와 집터 3기가 발굴되었습니다. 돌널무덤은 산기슭을 따라 나란히 분포하며, 무덤방의 크기는 대체로 130~200cm 정도로 다양합니다. 무덤 내부에서는 바로펴묻기(伸展葬)가 대부분이나, 굽혀묻기(屈身葬)도 발견되었습니다. 주요 껴묻거리는 항아리, 단지, 돌도끼, 돌화살촉 등이 있습니다.
허우스산 유적
허우스산 유적은 지린 시 북쪽에 위치하며, 시퇀산 문화 중기부터 후기까지 다양한 시기의 유물이 발굴되었습니다. 집터 20기, 무덤 163기 등이 조사되었으며, 무덤에서는 비파형동검, 청동도끼, 청동 손칼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또한 돼지 이빨로 만든 치레걸이, 돌귀걸이 등의 꾸미개도 발굴되어 당시 사람들의 치장 문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창서산 유적
창서산 유적은 허우스산 유적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집터 15기, 무덤 4기가 발굴되었습니다. 움무덤과 돌널무덤이 함께 발견되었으며, 청동 투겁창, 마노제 대롱구슬 등 중요한 청동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싱싱사오 유적
싱싱사오 유적은 용지현에 위치하며, 집단 공동묘지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돌널무덤 86기가 발굴되었습니다. 토기, 석기, 청동기 등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비파형동검과 청동 투겁창이 중요한 유물로 확인되었습니다.
4. 시퇀산 문화를 보여주는 집터와 무덤
시퇀산 문화의 집터와 무덤은 문화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초기 집터는 강 언저리 산기슭에 위치하며, 반지하식으로 지어졌습니다. 집터 내부에는 돌을 쌓아 벽체를 만들고, 화덕은 돌두름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후기로 갈수록 집터는 강안 충적대지의 평지에 위치하며, 집 내부에 화덕의 수가 증가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무덤은 대부분 나지막한 구릉의 기슭에 위치하며, 초기에는 돌널무덤이 주로 유행하였고, 후기로 갈수록 움무덤과 독무덤도 함께 나타났습니다. 무덤의 크기는 다양하며, 묻힌 사람들의 껴묻거리는 살림도구와 꾸미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 시퇀산 문화 사람들의 경제 생활
시퇀산 문화 시기의 사람들은 농경, 사냥, 물고기 잡이, 채집 등 복합적인 경제활동을 영위하였습니다. 이른 시기에는 돌도끼와 돌칼 등 농업 도구가 많이 출토되어 농경의 시작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복합 생업경제 단계에 있었으며, 돼지를 가축화한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 늦은 시기에는 농경과 목축이 더욱 발달하였으며, 다양한 작물이 조사되었습니다.
6. 시퇀산 문화의 출토 유물과 연대
시퇀산 문화에서 출토된 유물은 토기, 석기, 청동기, 뼈 유물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토기는 굵은 모래가 섞인 찰흙으로 제작되었으며, 대부분 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항아리, 단지, 세 발 솥, 바리, 잔 등 다양한 형태의 토기가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미송리형 토기와 유사한 점에서 시퇀산 문화는 한국 청동기 문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석기에서는 돌도끼, 돌칼, 돌화살촉 등이 주요 유물로, 청동기에서는 비파형동검, 투겁창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시퇀산 문화의 연대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서기전 13세기부터 시작되어 서기전 3세기까지 지속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7. 우리 역사에서 시퇀산 문화의 의미
시퇀산 문화는 한국 청동기 문화와 부여의 형성 과정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하였습니다. 특히 비파형동검과 미송리형 토기 등은 부여의 기층 문화로 작용하였으며, 시퇀산 문화는 부여의 국가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부여는 고구려와 백제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 중요한 국가였기에, 시퇀산 문화는 한국사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Education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주 침촌리 유적, 개석식 고인돌 (0) | 2024.10.11 |
---|---|
고조선 사람들의 고인돌 무덤 - 펑청 둥산·시산 유적 (0) | 2024.10.11 |
여주 흔암리 유적과 청동기시대 토기문화의 전개 (0) | 2024.10.11 |
평양 남경 유적, 오곡 농사를 짓던 고조선 사람들의 보금자리 (0) | 2024.10.11 |
솽퉈즈[雙砣子] 유적 : 압록강 유역 선사문화와의 관계 (0) | 2024.10.11 |
진주 대평 유적과 번개무늬 토기의 미스터리 (0) | 2024.10.11 |
정선 아우라지 유적과 덧띠문토기문화의 역사적 의미 (0) | 2024.10.11 |
무산 범의구석 유적, 북한 고고학에 과학적 연구 방법 도입의 시작 (0) | 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