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평양 남경 유적, 오곡 농사를 짓던 고조선 사람들의 보금자리

평양 남경 유적은 한반도 북부의 고대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유적지입니다. 이 유적지는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초기 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생활 흔적이 발견되며, 특히 고조선 시기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남경 유적의 위치,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생활상, 그리고 이 유적이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유적의 위치와 주변 환경

남경 유적은 평양시 삼석구역 호남리 남경 마을에 위치해 있으며, 대동강의 오른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유적 주변에는 대동강과 남강이 만나는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고, 신석기 시대 금탄리 유적과도 가까운 거리에 있습니다. 1979년부터 1981년까지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시대의 집터와 무덤이 조사되었습니다.

평양 남경유적 전경

유적은 남북으로 50m, 동서로 100m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석기 시대 집터 5기, 청동기 시대 집터 22기, 초기 철기 시대 독무덤 9기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대동강 유역에서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정착하여 농사를 짓고 생활해왔음을 보여줍니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보금자리

남경 유적에서 발굴된 신석기 시대 집터는 모두 5기(12호, 17호, 31호, 32호, 37호)로, 평면 생김새에 따라 긴 네모꼴과 타원형으로 구분됩니다. 이 집터들은 습기를 막기 위해 바닥에 진흙을 깔고 다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화덕은 대부분 중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12호 집터는 화덕 바닥에 구멍이 있어 조리 도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생활 방식

신석기 시대 남경 유적에서 발견된 주요 유물들은 석기와 토기입니다. 석기는 도끼, 자귀, 갈돌과 갈판, 그물추, 화살촉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1호 집터에서 그물추 약 3,000여 점이 발굴되었습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대동강에서 어로 활동을 활발히 했음을 보여줍니다.

토기새김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민무늬 토기로 구분되며, 일상생활에서 사용된 다양한 형태의 그릇들이 발견되었습니다. 특히 31호 집터에서는 높이 84cm에 이르는 큰 독이 출토되어, 당시 사람들의 생활 용기를 통해 그들의 저장과 조리 방식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암사유적출토 민무늬토기

신석기 시대 : 이른 민무늬 토기, 빗살무늬토기, 덧무늬 토기 
청동기 시대 :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붉은 간토기 
철기 시대 : 민무늬 토기, 덧띠 토기, 검은 간토기 

신석기 시대 사람들의 식생활

남경 유적에서 발굴된 유물 중에는 좁쌀, 도토리, 불탄 뼛조각 등이 포함되어 있어, 당시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동물 사냥과 채집을 병행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좁쌀은 1되 정도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농업이 이미 신석기 시대부터 주요한 식량 공급원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삶과 죽음이 공존한 곳

청동기 시대의 남경 유적은 더욱 발전된 사회 구조와 생활상을 보여줍니다. 총 22기의 집터와 5기의 돌널무덤이 발굴되었으며, 집터는 구조에 따라 3시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부여 송국리 유적_돌널무덤1
부여 송국리 유적_돌널무덤2
부여 송국리 유적_돌널무덤3

 

남경 Ⅰ기: 초기 청동기 시대

남경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청동기 시대 집터는 7기로, 작은 네모꼴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시기의 집터에서는 주로 팽이형 토기가 출토되었으며, 이는 주로 음식을 끓이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돌도끼, 돌자귀, 갈돌, 갈판 등 다양한 석기들이 발굴되어 이 시기의 생활 도구와 농업 도구를 엿볼 수 있습니다.

남경 Ⅱ기: 중기 청동기 시대

중기 청동기 시대의 집터는 11기로, 남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구조입니다. 이 시기에는 미송리형 토기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고조선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의 집터에서는 곱돌로 만든 단추 모양의 치레걸이와 대롱 구슬 등이 발견되어 당시 사람들의 장식 문화도 엿볼 수 있습니다.

남경 Ⅲ기: 후기 청동기 시대

후기 청동기 시대에 해당하는 남경 Ⅲ기의 집터는 앞 시기보다 더 큰 규모로, 주로 남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시기의 집터에서는 팽이형 토기, 반달돌칼, 돌창, 그물추 등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습니다. 또한 돌돈(석화)이 발견되어, 이 시기 사람들이 석기를 제작하고 사용했음을 보여줍니다.

 

청동기 시대의 무덤

남경 유적에서는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무덤도 발굴되었습니다. 5기의 돌널무덤은 넓적한 판자돌로 상자를 만들 듯 짜 맞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무덤방의 크기는 길이 110~150cm, 너비 50cm 정도입니다. 이 무덤에서는 주로 돌창, 돌화살촉, 미송리형 토기 조각 등이 발견되었습니다.

미송리형토기

또한 청동기 시대 집터 위에서는 9기의 독무덤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무덤들은 주로 화분형 단지를 사용한 이음 독무덤으로, 당시 사람들이 독을 이용해 시신을 안치한 방식이 밝혀졌습니다.

 

독무덤
독무덤

 

남경 유적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

남경 유적은 대동강 유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사람들이 어떻게 정착하고 생활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유물과 생활 흔적들은 당시 사람들이 농업과 어로를 바탕으로 한 경제활동을 하였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청동기 시대의 유적에서는 벼, 조, 수수, 기장, 콩 등 오곡을 재배했던 흔적이 발견되어, 고조선 시기의 농업이 매우 발전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석기와 토기의 출토는 이들 사람들이 목재 가공과 석기 제작에 있어서도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합니다.

남경 유적은 신석기 시대부터 고조선에 이르는 한반도 북부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당시 사람들의 삶과 죽음, 그리고 그들이 남긴 유산을 통해 선사시대 한반도의 환경과 생활상을 재구성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