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사천 이금동 유적: 청동기 시대의 신전과 의례

개요

현대 사회에서는 교회, 성당, 사찰과 같은 종교적 건물들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그 형태나 규모가 일반적인 건축물과는 차별화됩니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우리 사회에 이러한 종교적인 건축물이 존재했을까요? 그리고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처럼 거대한 신전이 우리나라에도 존재했을까요? 특히, 청동기 시대에 신전과 같은 건축물이 있었을지, 당시 사람들이 믿던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과 같은 종교적 신앙이 우리나라에도 뿌리내렸는지 궁금해집니다.

사천 이금동 유적 61호 지상건물
사천 이금동 유적 61호 지상건물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경상남도 사천 이금동 유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발굴된 청동기 시대 유적은 생활공간과 무덤공간이 뚜렷이 구분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위치한 거대한 지상 건물이 신전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천 이금동 유적을 통해 청동기 시대의 종교적 의례와 신전의 존재 여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천 이금동 유적

발굴의 배경

경상남도 사천시 이금동 산 41번지 일대에서 진행된 발굴조사는 과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습니다. 이곳에서 발견된 유적은 구석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흔적을 담고 있지만, 특히 청동기 시대의 마을 유적이 가장 주목받고 있습니다.

 

생활공간과 무덤공간의 구분

사천 이금동 유적의 특징 중 하나는 생활공간과 무덤공간이 명확하게 구분된 점입니다. 생활공간에서는 집자리와 화덕 자리, 저장구덩이 등이 발견되었으며, 집자리는 반지하식 건물과 지상 건물로 나뉩니다. 반지하식 움집과 지상 건물은 그 형태와 크기에서 차이를 보이며, 특히 네모꼴 집자리와 원형 집자리가 서로 다른 시기의 유적으로 해석됩니다. 생활공간에는 송국리형 토기, 홈자귀, 삼각형 돌칼 등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들이 출토되었습니다.

사천 이금동 유적

무덤공간은 생활공간에서 남쪽 아래에 위치하여 마을 전체가 무덤을 내려다볼 수 있게 배치되었습니다. 무덤공간에서는 고인돌, 돌널무덤, 독무덤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비파형 청동칼이 출토된 작은 돌널무덤이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크고 화려한 무덤에서만 귀중한 유물이 출토된다는 통념을 깨는 사례입니다.

 

60호와 61호 지상건물

생활공간과 무덤공간 사이에 위치한 대형 지상건물 60호와 61호는 사천 이금동 유적의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60호 지상건물은 마을의 중앙 광장 남쪽에 위치하며, 길이 29m, 너비 6m의 초대형 건축물로 해석됩니다. 이 건물은 마을 주민들이 모여 회의를 하거나 공동 작업을 진행하는 공공건물일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권력자의 주거지나 곡식을 보관하는 창고였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61호 지상건물은 무덤공간과 인접해 있으며, 길이 32m, 너비 12m에 달하는 큰 규모의 건물입니다. 이 건물은 생활공간 쪽으로 입구를 두고 있어, 생과 사를 이어주는 신전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대형 지상건물의 성격

60호와 61호 지상건물은 그 규모와 배치로 보아 단순한 생활용 건물이 아닌, 종교적 의례나 공공의식을 위한 공간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61호 건물은 무덤공간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죽은 자와 산 자를 연결하는 장례의식이나 제사의 장소로 기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와 유사한 예는 일본 오사카의 이케가미소네 유적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기원전 52년경의 건축물로 추정되는 이 유적은 사천 이금동의 61호 건물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며, 신전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이로 보아 한반도 남부의 청동기 시대 신전 건축 전통이 일본 야요이 시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청동기 시대의 의례

풍요와 생존을 기원하는 의례

청동기 시대는 농경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시기입니다. 이는 사람들의 생활 방식뿐만 아니라 종교적 의례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석기 시대의 수렵과 채집 생활에서 주로 단기적인 생존을 기원했다면, 청동기 시대에는 일 년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장기적인 의례가 중시되었습니다.

사천 이금동 유적

청동기 시대의 사람들은 작물의 파종과 수확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계절의 변화와 천문 현상에 대한 관심을 가졌습니다. 해와 달, 별을 관찰하며 농경과 연관된 신성한 의례를 진행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의례는 당시 사람들의 우주관과 세계관에도 큰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다양한 의례

사천 이금동 유적을 비롯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는 청동기 시대에 다양한 의례가 치러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의례로는 장송의례, 조상신에 대한 제사, 농경의례 등이 있습니다.

장송의례는 생활공간에서 삶을 마친 이들을 무덤공간으로 옮기는 장례 의식입니다. 61호 지상건물에서 죽은 자를 위한 제사가 진행된 후, 무덤에 안치하는 과정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현대의 장례와 유사한 형태로 보입니다.

농경의례는 풍년을 기원하는 의식으로, 생활공간이나 경작지에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진주 대평리 유적에서는 새부리 모양의 석기와 토기가 농경의례와 관련된 유물로 출토되었으며, 이는 당시 사람들이 농사의 성공을 기원하며 의례를 치렀음을 보여줍니다.

 

청동기 시대 의례의 장소와 상징

의례는 단순히 마을 내부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산 정상이나 강변과 같은 자연적 장소도 의례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부천 고강동 유적에서는 산 정상에서 이루어진 산정의례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경주 석장리 등지에서는 바위그림을 통해 신이나 사람의 얼굴을 표현한 의례의 장소로 사용된 바위들이 확인되었습니다.

사천 이금동 유적

이처럼 청동기 시대 사람들은 자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자연 속에서 신성한 의례를 행하며 그들의 삶을 영적인 세계와 연결시켰습니다.

 

결론

사천 이금동 유적은 한반도 남부의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종교적 의례와 신전 건축의 흔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곳에서 발견된 대형 지상건물과 무덤공간은 당시 사람들이 생과 사를 잇는 의례를 치렀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합니다. 청동기 시대의 사람들은 농경과 천문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례를 통해 풍요와 생존을 기원했으며, 그 흔적은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습니다.

사천 이금동 유적을 통해 우리는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신앙과 의례, 그리고 그들의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우리 역사 속에서 중요한 종교적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