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여수 적량동·월내동 유적과 비파형동검의 제작지

여수 월내동 고인돌
여수 월내동 고인돌

 

여수 적량동·월내동 유적 개요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은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로, 그 기원과 제작지에 대한 많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중국 요령성(遼寧省)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요령식동검(遼寧式銅劍)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 비파형동검은 한반도 전역에서 약 80점 정도가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동검들은 한반도에서 제작된 것인지, 아니면 중국 동북 지역에서 교역을 통해 유입된 것인지를 규명하는 것은 중요한 학문적 과제가 되어왔다. 흥미롭게도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한반도 남단, 여수반도에서 찾을 수 있다.

전라남도 여수시의 적량동과 월내동에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비파형동검이 출토되었다. 특히 이 지역에서는 비파형동검 12점과 비파형 청동 투겁창(投劍槍) 1점이 발굴되었으며, 이는 한반도 남부에서 비파형동검이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여수 적량동·월내동 유적의 발굴

적량동과 월내동 일대의 유적은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고인돌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적량동에서는 총 14기의 고인돌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 4기의 고인돌은 원래 자리에 그대로 남아 무덤방이 확인되었으나, 나머지 고인돌들은 제자리가 아니거나 이동된 것으로 보인다. 이 유적의 독특한 점은 고인돌 무덤군에서 비파형동검이 하나씩 출토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비파형동검은 무덤방에서 온전한 상태로 출토된 것도 있지만, 파편이 재가공된 경우도 있었다.

여수 적량동·월내동 유적의 발굴
여수 적량동·월내동 유적의 발굴

예를 들어, 적량동의 7호 고인돌에서는 완전한 형태의 비파형동검이 발견되었고, 2호 돌덧널형 무덤방에서는 비파형동검과 함께 비파형 청동 투겁창이 출토되었다. 비파형 투겁창이 고인돌에서 발견된 것은 최초의 사례로, 여수 지역의 유적이 비파형동검 및 관련 청동기 제작지일 가능성을 높여준다.

 

비파형동검의 특징

비파형동검은 그 형태가 악기 비파(琵琶)와 닮아 그 이름이 붙여졌다. 이 청동검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며, 중국 중원 지역에서 발견되는 일체형 주조의 청동검과는 차이가 있다. 비파형동검은 칼몸과 손잡이가 별도로 제작되었거나, 손잡이는 나무와 같은 유기물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았다. 한반도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은 요령성에서 출토된 전형적인 비파형동검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이는 중국과 한반도 남부 지역 간의 교류를 시사하는 증거로 여겨진다.

 

비파형동검의 기원과 제작지

비파형동검이 어디서 처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논쟁은 크게 두 가지 설로 나뉜다. 첫 번째는 요서 지역(遼西) 기원설로, 요서 지역에서 청동기 유물과 함께 비파형동검이 발견된 사례를 근거로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중국 내몽고의 소흑석구 유적에서 춘추전국시대의 청동그릇과 함께 비파형동검이 출토된 경우다. 이러한 발견은 비파형동검이 기원전 8세기 무렵에 등장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두 번째 설은 요동 지역(遼東) 기원설로, 비파형동검의 절대 연대를 가늠할 수 있는 유물이 요동 지역에서 출토되지 않은 점에서 학문적인 형식학을 근거로 한다. 비파형동검의 가장 큰 특징인 곡선적인 날의 기원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찾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동물 뼈에 돌날을 끼운 뼈칼에서 그 기원을 찾으려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처럼 비파형동검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요동 지역에서 처음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여수 지역 비파형동검의 중요성

여수 적량동과 월내동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은 한반도 남부에서 비파형동검이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증거로 평가된다. 특히 적량동 유적에서는 완형의 비파형동검뿐만 아니라 파손된 동검이 재가공된 형태로도 출토되었는데, 이는 해당 지역에서 동검이 제작되고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남해안을 통해 일본 규슈 지역으로 동검이 전파된 것으로 보이는 흔적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여수반도가 당시 동아시아 교역의 중심지 중 하나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여수 지역 비파형동검

 

비파형동검 제작 기술의 지역적 특성

여수 지역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들은 X-ray 분석을 통해 특이한 제작 기법을 보여주었다. 동검의 칼날 끝 쪽에 기포가 많이 모여 있는 점에서, 청동을 녹여 거푸집에 부을 때 칼끝 쪽으로 쇳물을 부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한반도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비파형동검과는 다른 제작 방식으로, 여수반도만의 독특한 청동기 제작 기술을 반영한 것일 수 있다.

 

결론

여수 적량동과 월내동 유적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은 한반도 남부 지역이 동북아시아 청동기 문화의 중심지 중 하나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비파형동검의 기원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는 가운데, 여수반도가 당시 비파형동검 제작과 교역의 중요한 거점이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앞으로 이 지역에서의 추가적인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문화와 정치적 발전 양상을 더욱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