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청도 진라리 유적과 간돌칼의 역사적 의미

청도는 경상북도 남쪽에 위치한 고장으로, 오랜 역사를 품은 곳입니다. 그중에서도 청도의 진라리 유적은 한반도 청동기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적지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이곳에서 출토된 간돌칼은 청동기 시대의 사회, 문화, 그리고 무기 발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도 진라리 유적에서 출토된 간돌칼의 역사적 의미와 당시 사회를 함께 탐구해보겠습니다.

청도 진라리 유적 출토 간돌칼
청도 진라리 유적 출토 간돌칼

 

1. 청도 진라리 유적의 개요

경상북도 청도의 진라리 유적은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생활과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발굴지입니다. 다로천 하류에 위치한 진라리의 고인돌 유적에서는 한반도에서 가장 큰 간돌칼이 출토되었는데, 이 간돌칼은 길이 66.7cm에 달하며, 보통 크기의 간돌칼보다 두 배 이상 큰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거대한 칼은 실용성보다는 상징적 의미가 컸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1-A구역전경
1-A구역전경

 

진라리 유적의 주요 발굴 내용

진라리 유적의 발굴 조사에서는 고인돌 5기, 덮개돌 4개, 집자리 93채, 고상건물 3채 등 총 136기의 유구가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1호 고인돌의 덮개돌은 무게가 약 8톤에 이르며, 덮개돌 아래에는 돌널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3호 고인돌에서는 덮개돌이 사라진 상태였지만, 돌화살촉과 함께 간돌칼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간돌칼은 청동기 시대 한반도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것이었습니다.

2-B구역주거지밀집군
2-B구역주거지밀집군
3-주거지5호전경
3-주거지5호전경
4-지석묘 전경
4-지석묘 전경

이곳에서 발견된 주거지 유구는 총 93기가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가장 큰 주거지는 B1호 집자리로, 가로 1,470cm, 세로 444cm에 달하는 대형 구조였습니다. 이러한 대형 집자리 내부에서는 많은 유물이 생활하던 상태 그대로 발견되었는데, 이는 화재나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급히 집을 떠난 것으로 보입니다.

5-지석묘 개석 제거후 전경
5-지석묘 개석 제거후 전경
6-지석묘 3호 노출전경
6-지석묘 3호 노출전경

 

2. 청도 진라리 간돌칼의 특징

진라리에서 출토된 간돌칼은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간돌칼 중에서도 가장 크고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간돌칼보다 두 배 이상 크며, 손잡이가 넓게 벌어져 있어 실용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큰 칼을 만들었을까요?

간돌칼의 상징성

이러한 거대한 간돌칼은 실용적인 무기로 사용되기보다는 제의 상징적인 용도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당시 사회에서는 군사적 지도자의 상징으로 간돌칼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간돌칼은 무덤에 함께 묻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죽은 자의 권력과 지위를 상징하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7-지석묘 3호 출토 마제석겸
7-지석묘 3호 출토 마제석겸

청도 진라리 인근의 예전동에서도 두 자루의 비파형 동검이 출토된 바 있습니다. 이 동검들은 깊은 산속에서 제사용으로 바쳐졌을 가능성이 높아, 간돌칼 역시 의례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간돌칼은 시간이 지나면서 손잡이가 점점 커지고 칼날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실제 전투용 무기가 아닌 상징적 도구로서의 역할을 강화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3. 간돌칼의 시대적 배경

간돌칼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나, 청동기 시대에 가장 발달한 형태로 발전하였습니다.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주요 무기였던 간돌칼은, 청동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까지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비파형 동검과 함께 간돌칼은 한반도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무기로 자리잡았으며, 특히 간돌칼은 돌을 다루는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간돌칼은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도 한반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도구입니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돌칼이 발견되지만, 한반도에서 출토된 간돌칼은 그 형태와 사용 방식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입니다. 특히 중국의 간돌칼은 주로 나무자루에 끼워 사용하는 슴베식 간돌칼이 많았지만, 한반도에서는 대체로 손잡이가 크게 만들어진 형태가 많이 출토되었습니다.

 

 

4. 간돌칼과 청동검의 관계

한반도에서 간돌칼은 비파형 동검과 함께 무덤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하지만 청동검은 상대적으로 적게 출토된 반면, 간돌칼은 그 수가 매우 많습니다. 이는 청동기 제작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돌을 사용해 간돌칼을 제작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간돌칼은 초기에는 실용적인 무기로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의용 도구로 변모했습니다. 청동기 시대 후반에는 한국식 동검이 보편화되면서 간돌칼의 역할은 점차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여전히 간돌칼은 당시 지배층의 상징적 무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청도 진라리 유적의 의미

청도 진라리 유적은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문화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특히 간돌칼의 출토는 당시 무기 제작 기술과 사회적 상징 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진라리 유적에서 발견된 주거지와 유물들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벼농사와 같은 농업 활동을 중심으로 생계를 이어갔음을 보여줍니다.

8-주거지출토 무문토기발
8-주거지출토 무문토기발

진라리 유적은 간돌칼뿐만 아니라 다양한 청동기 시대 유물들이 출토된 곳으로,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문화적, 사회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입니다. 이러한 유적을 통해 우리는 당시 사람들의 삶과 그들이 사용했던 도구, 그리고 그 도구들이 지닌 상징적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청도 진라리 유적에서 출토된 거대한 간돌칼은 단순한 무기가 아닌, 당시 사회의 지배 구조와 제사 의례를 상징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간돌칼은 청동기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상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한반도 청동기 시대의 무기 발달과 기술 수준을 잘 보여줍니다.

이처럼 청도 진라리 유적은 간돌칼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을 통해 한반도 청동기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많은 연구를 통해 그 의미가 더욱 구체적으로 밝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