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당진 소소리 유적과 서해안 교역

당진 소소리 출토 일괄유물
당진 소소리 출토 일괄유물

1. 개요

아산만은 한국에서 조석 간만의 차가 가장 큰 지역으로, 이곳 인근에 위치한 당진군 합덕면 소소리에서 청동기와 철기가 함께 발견되었습니다. 비록 정식 발굴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소소리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장수 남양리, 부여 합송리 등지에서 발견된 유물들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였습니다. 특히 잔무늬거울, 청동검 등과 함께 철제 도끼와 끌이 함께 출토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소소리 유적에서 확인된 유물들은 총 13점으로, 세형동검, 칼끝 장식, 꺾창, 잔무늬거울 등 마한계 청동기와 함께 도끼와 끌 같은 전국 연나라 계통의 철기, 그리고 중국 남방계 유리구슬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유물들은 한반도 남부와 중국 간의 교역 및 문화적 교류의 흔적을 보여주며, 특히 서해안을 통한 교역의 중요한 증거로 해석됩니다.

 

2. 한반도의 철기 전래

한반도 초기 철기 유입

한반도에서 철기가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기원전 4~3세기경으로 추정됩니다. 당시에는 자체적으로 철기를 제작할 기술이 부족하여, 주로 중국 전국시대의 연나라와 같은 외부 지역에서 수입된 철기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당진 소소리 유적에서도 확인되는데, 여기서 출토된 철기들은 주로 도끼나 끌과 같은 공구들이며, 무기로는 칼이나 화살촉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중국에서 철제 무기를 통제하였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철기 제작의 시작

한반도에서 본격적으로 철기를 제작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세기 경입니다. 이는 고조선의 준왕이 위만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남하하면서부터입니다. 이후 사천 늑도 유적 등지에서 제철 관련 유구가 발견되면서 철기 제작이 일반화되었습니다. 또한, 울산 달천 광산에서는 일본 야요이 시대의 토기가 함께 출토되어 기원전 후반부터 철이 일본으로 수출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철을 매개로 한 동아시아 교역의 등장을 의미하며,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3. 철기의 육로 이동 경로

연나라 철기의 유입

소소리 유적에서는 연나라 계통의 철기가 출토되었습니다. 연나라는 전국시대 중국 북부에 위치한 나라로, 철기를 주조하는 기술이 발달해 있었습니다. 특히 연나라 철기는 산둥 반도를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이러한 철기가 한반도 남부로 유입된 것입니다. 소소리 유적의 철기들은 주로 도끼와 끌 같은 농공구로, 이는 한반도 북부의 연나라 화폐 명도전과 함께 출토되는 사례들과 일치합니다.

연나라 철기가 한반도에 유입된 시기는 기원전 3세기경, 연나라 소왕이 고조선으로부터 서방 2천 리의 땅을 빼앗은 이후로 추정됩니다. 이때부터 철기가 한반도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준왕이 남하한 기원전 2세기경부터는 남부에서 철기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4. 유리의 해상 이동 경로

납-바륨 유리의 유입

소소리 유적에서 출토된 유리구슬은 납-바륨 유리로, 이는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나 중원에서 제작된 유리로 추정됩니다. 납-바륨 유리는 서양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동아시아에서 확인됩니다. 소소리 유적을 비롯한 한반도 서남부 지역에서 발견된 초기 유리들은 대부분 이 계통에 속합니다.

포타쉬 유리의 확산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포타쉬 유리가 주로 제작되었습니다. 특히 전국 월나라에서 제작된 포타쉬 유리는 월왕 구천의 검에 장식되어 있으며, 한반도에서도 기원전 1세기 이후에 이러한 포타쉬 유리가 발견됩니다. 이는 한나라의 남월국 정복 이후, 동남아시아와의 교역이 활성화되면서 유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5. 대동강 유역과 한반도 서남부의 연결

철기와 유리의 만남

육로를 통해 들어온 철기와 해로를 통해 유입된 유리가 만난 곳은 대동강 유역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철기와 유리는 한반도 서남부로 전파되었으며, 이는 당시의 주요 교통로가 육로보다 해로였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특히 기원전 194년 준왕이 해로를 통해 한반도 남부로 이동하였다는 기록은, 이 지역에서 해상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유리와 철기의 분포

철기와 유리의 분포를 보면, 전국계 철기는 내륙 깊숙한 지역까지 확산된 반면, 유리는 주로 서해안과 강 유역에 집중됩니다. 이는 해상을 통한 물자 교류가 활발했음을 나타내며, 내륙으로는 강을 통해 유입되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유리는 내륙 깊숙이 퍼지지 않았는데, 이는 벽옥과 같은 대체재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6. 서해안 교역의 실태

한반도와 일본 간의 교류

한반도와 일본 규슈 간의 교류는 해상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두 지역 간의 거리가 가깝고, 중간에 쓰시마 섬과 이키시마 같은 섬들이 위치해 있어 교역이 용이했습니다. 이와 달리 서해안은 중국과의 해상 교류가 중심이었으며, 산둥반도와 대련을 거쳐 한반도로 쉽게 이동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교류 과정에서 소소리 유적에서 출토된 유리와 철기가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소소리 유적의 교역망

소소리 유적의 지배자는 중국 동북부 연나라의 철기와 남부 초나라의 유리 등 신문물을 해상 교역을 통해 받아들였으며, 이를 통해 성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유적은 한반도 서해안 지역이 고대 동아시아의 중요한 교역 중심지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해석됩니다.

 

결론

당진 소소리 유적은 청동기와 철기가 함께 출토된 중요한 유적으로, 한반도 서해안 교역의 역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특히 서해안을 통한 중국과의 교류, 그리고 이를 통해 유입된 철기와 유리 등의 유물들은 동아시아 고대 교역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해 줍니다. 이러한 유적 연구는 앞으로도 동아시아 고대 문화와 교역의 역사를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