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고조선·한 전쟁: 고조선의 마지막 전쟁

고조선과 한(漢) 간의 전쟁은 기원전 109년부터 108년까지 이어진 고대 동아시아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전쟁은 고조선의 멸망을 초래한 결정적인 전투로, 고조선의 왕도인 왕검성(王儉城)이 포위되고 결국 내부 분열로 인해 함락되면서 고조선의 역사는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한나라의 고조선 침공 방향
한나라의 고조선 침공 방향

 

전쟁의 배경

고조선은 위만(衛滿)의 집권 이후, 한나라와 외신(外臣) 관계를 맺으며 한의 영향력 아래 있었습니다. 한나라는 자국의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는 한편, 외신제를 통해 주변 이민족들을 포섭하려 했습니다. 이 외신제는 한나라가 자국의 국경을 보호하고 이민족들을 관리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이었으며, 위만 역시 이러한 외신의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위만의 손자 우거왕(右渠王)이 즉위하면서 고조선의 세력은 더욱 확장되었고, 주변국들과의 중개 역할을 하며 한나라와의 갈등이 점점 심화되었습니다. 특히 고조선은 한나라와 주변국 간의 소통을 방해하여 천자에게 입조하는 것을 막았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나라는 고조선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었고, 결국 전쟁이 발발하게 됩니다.

 

한나라의 고조선 정벌

기원전 109년, 한 무제(漢武帝)는 섭하(涉何)를 사신으로 보내 고조선의 방해 행위에 대해 경고했으나, 우거왕은 이를 무시했습니다. 이에 분노한 한나라는 대대적인 정벌을 준비하였고, 누선장군(樓船將軍) 양복(楊仆)과 좌장군(左將軍) 순체(荀彘)를 중심으로 대규모 군대를 파견하였습니다.

누선장군 양복은 해상으로, 좌장군 순체는 육로로 고조선을 공격했습니다. 양복은 병사 7,000명을 이끌고 바다를 건너 고조선을 공격했으나, 고조선의 강력한 방어에 패하고 병사들을 잃었습니다. 순체 역시 패수(浿水)에서 고조선 군대에 막혀 전진하지 못하며 고전했습니다. 전쟁 초반 고조선은 한나라 군대를 상대로 우위를 점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은 변하게 됩니다.

 

외교적 해결 시도와 결렬

전쟁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한나라는 다시 한 번 외교적 해결을 시도했습니다. 고조선 역시 한나라와의 전쟁이 부담스러웠고, 태자를 보내 사죄하려는 의도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사죄를 위한 협상이 결렬되었고, 전쟁은 다시 재개되었습니다. 전쟁 후반부로 갈수록 한나라는 전열을 정비하고 고조선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순체는 패수에서 고조선 군대를 격파하고 왕검성을 포위하였습니다. 양복 역시 전열을 재정비한 후 왕검성 남쪽에 주둔하며 포위에 참여했습니다. 그러나 왕검성의 수비는 매우 강력했으며, 몇 달 동안 지속된 공세에도 불구하고 함락되지 않았습니다.

 

왕검성의 분열과 멸망

한나라 군대의 공격이 장기화되면서 고조선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왕검성의 대신들 중 일부는 한나라와 협상할 길을 모색하며 우거왕을 배신했습니다. 특히 이계상(尼谿相) 삼(參)을 중심으로 한 고조선의 상층부는 한나라와 내통하여 항복을 준비했습니다. 이러한 내부 배신은 고조선의 최후를 앞당기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우거왕은 끝까지 항복을 거부했으나, 결국 내부에서 배신이 일어나 그가 암살되면서 왕검성의 방어 체제는 무너졌습니다. 우거왕의 죽음 이후에도 그의 대신 성기(成己)가 저항을 이어갔으나, 고조선의 주요 인물들이 차례로 항복하거나 제거되면서 고조선은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전쟁 이후의 상황

한나라의 승리로 끝난 고조선·한 전쟁은 한나라가 동북아시아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고조선의 옛 땅에는 낙랑군(樂浪郡), 임둔군(臨屯郡), 진번군(眞番郡), 현도군(玄菟郡)이라는 네 개의 군이 설치되었습니다. 그러나 임둔군과 진번군은 오래가지 않아 폐지되었으며, 현도군 역시 요동 지역으로 물러나면서 기능을 상실했습니다. 낙랑군만이 고조선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오랜 기간 동안 변군(邊郡)으로서 기능을 유지하게 되었습니다.

한사군(漢四郡, 기원전 108년 ~ 314년) 또는 한군현(漢郡縣)
한사군(漢四郡, 기원전 108년 ~ 314년) 또는 한군현(漢郡縣)

한편, 전쟁에 참여했던 한나라의 장군들 중에는 큰 공을 세우고도 처벌을 받는 인물들이 많았습니다. 특히 순체는 전쟁 중 내부 분열을 일으킨 책임으로 처형되었으며, 양복 역시 서인(庶人)으로 강등되었습니다. 이계상 삼을 비롯한 고조선의 투항 세력들은 한나라로부터 포상을 받았지만, 이들도 훗날 여러 가지 죄목으로 처형되거나 감옥에 갇히는 등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습니다.

 

고조선 멸망의 의미

고조선의 멸망은 한나라가 동북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본격적으로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반도 북부 지역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이 강화된 중요한 사건입니다. 이후 낙랑군을 통해 한반도와 중국 간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이는 한반도 역사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고조선의 멸망 이후 한반도 지역에서는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새로운 국가들이 등장하게 되며, 한반도의 고대 국가 형성 과정이 본격화되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