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경주 조양동 38호 널무덤과 신라 건국

경주 조양동 38호 널무덤 출토 와질토기와 중국거울
경주 조양동 38호 널무덤 출토 와질토기와 중국거울

개요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신라가 기원전 57년에 건국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는 천년왕국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라 건국이 정말로 기원전 57년에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의문은 고고학적으로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할 단서를 제공한 것은 경주 조양동 유적의 발굴이었다. 이 유적의 발굴을 통해 신라의 건국 시기가 역사적 사실과 어느 정도 부합할 수 있다는 점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

 

경주 조양동 유적

경주 조양동 유적은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울산을 잇는 7번 국도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변진한(卞辰韓)의 독특한 토기인 와질토기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린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이다. 이곳에서는 총 39기의 널무덤과 13기의 덧널무덤, 8기의 돌덧널무덤, 20기의 독무덤 등이 발굴되었으며, 이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다양한 시대적 변천을 반영한다.

특히 이 유적에서 주목할만한 무덤으로는 5호 널무덤38호 널무덤이 있다. 5호 널무덤에서는 무늬 없는 청동거울과 철제 무기류, 유리목걸이 등이 출토되었으며, 38호 널무덤에서는 중국 한나라의 청동거울과 다양한 와질토기가 출토되었다. 이러한 유물들은 기원 전후의 한반도 남부 지역의 토기 문화와 무덤 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와질토기 논쟁

와질토기는 중국 한군현이 설치된 이후 한반도 남부에서 처음으로 제작된 회색 토기로, 기존의 갈색 토기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다. 회색 토기는 밀폐된 가마에서 구워진 결과로, 이전의 갈색 토기와 달리 높은 온도에서 산소가 차단된 환경에서 제작되었다. 이 기술은 중국의 토기 제작 기술이 한반도에 전해져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진·변한 지역의 와질토기
진·변한 지역의 와질토기

특히 와질토기의 출현은 한반도 남부에서 변진한을 중심으로 급격한 사회적 변화와 무덤 문화의 변화를 반영한다. 와질토기는 초기에는 널무덤과 함께 발견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덧널무덤과 함께 발견되며 그 양식이 발전하였다.

 

조양동 38호 널무덤의 중요성

경주 조양동 38호 널무덤은 와질토기의 초기 형태와 중국 한나라의 거울이 함께 출토되어, 기원 전후 한반도 남부 지역의 문화와 무덤 양식을 보다 명확하게 밝혀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38호 무덤에서 출토된 와질토기는 기원전 1세기 전후의 변진한 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로, 일본인 학자들이 주장한 '김해시대'와 '김해식 토기'에 대한 기존 학설을 반박하는 새로운 고고학적 증거로 자리 잡았다.

기존 학설에 따르면, 김해 회현동 조개무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근거로 1세기에서 3세기 사이의 김해시대가 존재했다고 보았다. 하지만 조양동 38호 널무덤의 발굴을 통해 김해식 토기는 4~6세기 삼국시대의 유물로 확인되었으며, 1세기 전후의 변진한 지역에서는 와질토기가 사용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철의 길과 경주-울산의 관계

조양동 유적은 단순한 고고학적 발굴지에 그치지 않고, 철광석의 채취와 교역을 통한 경주와 울산 세력의 성장을 설명하는 중요한 자료로도 활용된다. 이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기원전 57년 즈음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때 경주와 울산 지역은 철을 매개로 한 교역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특히 울산의 달천 광산에서 채취된 철광석은 경주로 운반되어 제련, 정련 과정을 거쳐 철기가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철의 유통 경로는 경주에서 울산을 잇는 7번 국도를 따라 형성된 '철의 길'로 불리며, 이 철의 길을 통제한 세력들이 경주와 울산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57년, 한반도 남부의 정치적 상황

기원전 57년 무렵, 신라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진한의 경주 세력은 울산 달천 광산에서 채취한 철광석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이와 동시에 변한(弁韓) 지역에서도 철기와 중국 한나라의 문물이 출토된 무덤들이 등장했지만, 그 규모나 세력은 진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조양동 38호 널무덤에서 출토된 중국 한나라의 청동거울은 이러한 시기의 정치적 교류와 문화적 흐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유물이다. 한편, 변한의 김해 지역에서는 중국 한나라의 청동거울 파편이 주로 출토되었는데, 이는 경주와 울산 지역이 중국과의 교역에서 더욱 활발한 활동을 보였음을 의미한다.

 

결론

경주 조양동 38호 널무덤의 발굴은 신라 건국 시기의 역사적 실체를 밝히는 중요한 고고학적 발견이었다. 이 유적을 통해 기원전 1세기 전후의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이루어진 사회적, 문화적 변화와 철을 중심으로 한 경제적 교류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신라 건국이 단순한 전설이 아닌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