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함평 초포리 유적과 청동기의 의미

함평 초포리 출토 유물
함평 초포리 출토 유물

 

1. 개요

청동기 시대는 인간이 금속을 다루기 시작한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의 무덤 유물은 사회 구조와 이데올로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청동기 시대의 무당은 단순한 주술사가 아니라 사회와 신을 연결하는 권력자였으며, 그들은 무력, 이데올로기, 재물을 모두 장악한 지도자였습니다. 이런 시대의 유물 중 하나인 함평 초포리 유적은 청동기 시대 무당이 지닌 권위와 그들이 소유한 물건의 상징성을 잘 보여줍니다.

2. 함평 초포리 유적

함평 초포리 유적은 전라남도 함평군 나산면에 위치하며, 1987년 주민들의 신고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곳에서 발견된 무덤은 암반층을 뚫고 지면에서 아래로 좁게 파여 있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덤의 바닥에는 나무널(목관)의 흔적이 있고, 주변에는 강돌로 채워진 돌널이 발견되어 돌무지 나무널 무덤으로 추정됩니다.

 

2.1 출토된 유물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주로 무덤 바닥과 널 안팎, 그리고 무덤 벽과 널 사이에 채워진 돌 틈에서 나왔습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세형동검, 잔무늬거울, 곡옥(귀걸이로 추정)이 있으며, 특히 무당의 상징인 방울이 발견되었습니다. 방울은 무덤의 주인공의 머리 좌우에 놓여, 그가 죽어서도 신과 소통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또한 칼과 거울도 중요한 상징물로, 칼은 무력을, 거울은 이데올로기를 나타냅니다.

 

3. 방울의 의미

3.1 방울과 금속의 상징성

방울은 청동기 시대부터 등장하는 중요한 의기(儀器) 중 하나로, 금속의 광택과 청명한 소리는 사람들에게 신비로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방울은 주로 무당과 관련되었으며, 청동기 시대의 무당은 방울을 통해 신과 소통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함평 초포리 유적에서 발견된 방울은 무당이 손에 쥐고 흔들 수 있는 형태로, 무당의 권위와 신성함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보입니다.

3.2 방울의 역사적 의미

방울은 한자로 ‘령(鈴)’과 ‘탁(鐸)’으로 나뉘며, 종모양 방울은 주로 가축에 매달아 그 위치를 알리거나 궁중 의례에서 사용되었습니다. 청동기 시대부터 확인된 둥근 방울은 주로 무당이 사용했으며, 이 시기의 방울은 정치적, 종교적 권위를 동시에 나타냈습니다.

 

4. 청동기의 부장과 매납

4.1 부장(부장품의 의미)

청동기 시대에는 무덤에 청동기를 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는 죽은 자가 생전에 지녔던 권위와 재력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함평 초포리 유적에서는 세형동검, 잔무늬거울, 방울 등이 발견되었는데, 특히 방울은 시신의 머리 위에 배치되어 죽은 이가 손을 들면 바로 쥘 수 있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이는 방울이 신과의 소통을 의미하는 중요한 의기임을 보여줍니다.

부장된 유물들은 주로 시신과 가까운 곳에 배치되었으며, 시신이 생전에 사용했던 도구들이 무덤 안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청동검과 잔무늬거울이 짝을 이루어 배치된 사례는 포항 성곡리에서도 확인되며, 이는 도교적인 사상을 반영한 것으로 사악한 영혼을 물리치기 위한 의식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4.2 매납(신에게 바친 청동기)

매납은 염원을 담아 특정한 장소에 청동기를 바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무덤 외의 다른 장소에서 발견된 청동기가 여기에 속하며, 주로 산속이나 바위 틈에서 발견됩니다. 이러한 매납은 신에게 바치는 의식의 일부로서, 청동기의 신성한 속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매납된 청동기들은 종종 땅에 박히거나 구부러진 상태로 발견되며, 이는 무기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신과 연결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함평 장년리 유적에서는 구부러진 청동검이 땅에 박혀 발견되었으며, 이는 그 자체가 신성한 힘을 지닌 무기였음을 나타냅니다.

 

5. 청동기의 깨짐과 훼기(毁棄)

청동기 시대 유물 중 일부는 완전한 형태가 아닌 깨진 상태로 발견되는데, 이는 당시의 풍습과 관련이 있습니다. 무덤에 부장된 유물을 깨뜨리는 것은 도굴을 방지하고, 신에게 바치는 행위로서 청동기의 신성함을 지키기 위한 의식적인 행동으로 보입니다. 남해안 지역에서는 비파형 동검이 깨진 상태로 무덤에 부장된 사례가 있으며, 이는 무덤의 신성함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잔무늬거울 역시 깨진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논산 원북리 나-6호 널무덤에서 발견된 잔무늬거울의 파편 4점은 서로 맞지 않으며, 청동검 역시 파편 상태로 출토되었습니다. 이러한 깨진 유물들은 죽은 자의 신성함을 보호하고, 무덤의 도굴을 막기 위한 훼기의 전통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6. 청동기의 신성함과 사회적 역할

청동기는 자연상태에서 존재하지 않는 최초의 인위적 금속으로, 그 신비로운 광택과 소리는 당시 사람들에게 매우 특별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청동기는 단순한 도구 이상의 상징성을 가지며, 무덤에 부장되거나 매납되는 귀중한 물건으로 취급되었습니다. 청동기를 소유한 자는 사회적, 종교적 권위를 가진 인물로 여겨졌으며, 특히 무당과 같은 지배자는 청동기를 통해 신과 소통하고 사람들을 다스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청동기 시대와 함평 초포리 유적의 역사적 의미

함평 초포리 유적은 청동기 시대의 사회 구조와 신앙 체계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곳에서 발견된 방울과 청동검, 거울 등은 단순한 유물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적 권위와 신성함을 상징하는 중요한 도구였습니다. 청동기를 소유한 자는 권력자였으며, 그들은 무덤에 부장된 유물들을 통해 죽은 후에도 신과 소통하고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습니다.

 

결론

함평 초포리 유적은 청동기 시대의 사회와 신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당시 지배자가 가진 권위와 그들이 소유한 물건들의 상징성을 잘 보여줍니다. 특히 방울, 청동검, 거울 등은 무당의 권위를 상징하는 중요한 의기였으며, 청동기의 부장과 매납은 당대 사람들의 종교적 신념과 사회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