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고구려 5부: 고대 왕국의 핵심 지배 집단

1. 고구려 5부의 개요

고구려는 다섯 개의 지역 정치체가 연합하여 건국된 국가로, 이 다섯 집단을 ‘5부(部)’라고 부른다. 고구려의 초창기에는 각 부가 독립성과 자치성을 유지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 권력은 계루부 왕권에 집중되었다. 결국 고구려의 5부는 독자적 정치체로서의 성격을 상실하고, 3세기 중반 이후 행정 구역명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명칭도 동・서・남・북・중부로 변화하며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되었다.

고구려를 이루던 5개의 부족으로, 계루부(桂婁部)·소노부(消奴部)·절노부(絶奴部)·순노부(順奴部)·관노부(灌奴部)가 있었으며, 이들 부족들은 역사서마다 기록된 이름들이 조금씩 다르다. 또한 계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족들을 나부(那部)라고 하여 이 5부 체제를 나부 체제(那部體制)라고 하기도 한다.

 

2. 나(那)에서 부(部)로, 그리고 고구려로

고구려 5부의 초기 명칭은 중국 문헌과 한국 문헌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삼국지』 위서 고구려전에서는 5부를 소노부(消奴部), 절노부(絶奴部), 순노부(順奴部), 관노부(灌奴部), 계루부(桂婁部)로 기록하고 있다. 반면, 『삼국사기』에서는 비류나부(沸流那部), 연나부(椽那部), 환나부(桓那部), 관나부(貫那部), 계루부로 나타난다.

고구려 5부의 초기 명칭
고구려 5부의 초기 명칭

이들 부 가운데 네 개의 부는 이름에 ‘나(那)’가 들어가며, 이는 해당 집단이 주로 강가나 계곡에 거주했음을 암시한다. 중국 측 문헌에서는 같은 발음을 가진 ‘노(奴)’로 표기되었으나, 의미상 동일한 집단으로 이해된다. 고구려의 주요 기반은 압록강 중상류와 혼강 유역이었으며, 이 지역에서 철기 문화가 유입된 기원전 2세기 무렵에 ‘나’ 집단이 등장했다. 이들 집단은 한사군(漢四郡)과 같은 외부 세력의 압박 속에서 연합하거나 정복을 통해 세력을 통합했다.

특히 기원전 37년경, 부여에서 남하한 주몽의 계루부가 기존의 연맹체에 합류하면서 고구려 건국의 주도권을 잡았다. 계루부는 뛰어난 군사력과 농업 기술을 바탕으로 소노부(비류나부)를 제압하고 고구려의 중심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

 

3. 고구려 초기 정치 체제와 5부의 역할

고구려의 5부는 초기에 독자성을 유지하며 자치권을 행사했으나, 동시에 왕권의 통제 아래 연합체를 형성했다. 각 부는 자체적인 군사력과 관원 조직을 갖추고 있었으며, 왕권과의 관계에서 일정 수준의 독립성을 지켰다. 그러나 왕권은 전쟁, 외교, 무역 등의 대외 교섭권을 장악해 나머지 부들을 통제했다. 이는 고구려가 외부의 군사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연맹체로 발전한 것과 관련이 깊다.

고구려의 5부

 

제가 회의와 고구려의 초기 정치 운영

고구려 왕은 국가 전체의 상징적 존재였지만, 모든 결정을 독단적으로 내릴 수는 없었다. 주요 국정 운영은 각 부의 유력자인 ‘대가(大加)’들이 참여한 ‘제가 회의(諸加會議)’에서 이루어졌다. 왕은 제가 회의를 주재하였으나, 이 회의의 결정에 반하는 절대적 권한을 행사하기는 어려웠다.

연나부 우씨 왕후
연나부의 반란

5부가 자치권을 유지하던 시기에는 왕권에 대한 저항도 발생했다. 고국천왕 때 절노부(연나부)가 왕의 통치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킨 것이 대표적인 예다. 또한, 왕위 계승 과정에서도 비류나부(소노부)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각 부는 독자적 정치 세력으로 왕권에 도전하기도 했다.

 

4. 부체제에서 중앙집권 체제로의 전환

고구려는 초기 국가 체제에서 왕권과 5부의 자치권이 공존하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3세기 이후 왕권이 점차 강화되면서 부의 독자적 지위는 약화되기 시작했다. 왕위 계승 원리가 형제 계승에서 부자 계승으로 바뀌며 왕의 권위가 크게 높아졌고, 이는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산상왕 시기의 반란 사건은 왕권과 부 세력 간의 충돌을 잘 보여준다. 연나부비류나부가 주도한 반란은 왕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를 계기로 부의 정치적 자율성은 더욱 축소되었다. 이후 고구려의 왕은 ‘태왕(太王)’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정치와 군사 권력을 독점하게 된다.

 

5부의 지방 행정 구역화와 중앙 귀족의 탄생

3세기 이후, 왕권의 강화와 함께 5부 출신 지배층은 중앙으로 이주해 왕을 보좌하는 귀족 관료로 변모했다. 그 결과, 5부 지역은 지방 행정 단위로 재편되며 자치성을 잃었다. 5부 출신 귀족들이 수도에 모여 살게 되면서, 이들의 거주 지역은 ‘동・서・남・북・중부’로 명명되었다.

부는 이제 더 이상 독립적인 정치체가 아닌 수도의 행정 구역으로 기능하게 되었으며, 왕권은 고구려 전역을 직접 통치하는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했다.

 

5. 결론: 고구려 5부의 역사적 의미

고구려 5부는 국가 건국 과정에서 중요한 정치 세력으로 활약했으며, 초기에는 강한 자치성과 독자성을 유지했다. 그러나 왕권이 강화되면서 부의 정치적 역할은 축소되었고, 행정 구역으로 전환되었다. 고구려 5부는 국가 발전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며, 초기 연맹체에서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의 핵심 동력이었다.

고구려의 주변 나라

부의 지배층은 중앙으로 흡수되어 귀족 계층을 형성했으며, 고구려는 중앙집권 체제로 변모하여 더욱 강력한 고대 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 고구려 5부의 역사적 사례는 국가 형성 초기의 연합체가 중앙집권 체제로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