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포상팔국의 난: 가야의 패권을 차지하라!

함안 말산리 고분군
함안 말산리 고분군

 

함안 말산리 고분군: 포상팔국의 난을 상징하는 대표 유적

1. 개요

3세기 초 후한(後漢)의 붕괴와 함께 동아시아는 격변의 시기를 맞이했다. 특히 변한 지역의 소국들은 한사군과의 교역을 통해 성장했지만, 국제 정세 변화로 새로운 주도권 경쟁이 촉발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경남 해안의 여덟 개국이 연합하여 벌인 전쟁이 포상팔국의 난(浦上八國之亂)이다.

이 전쟁에서 여덟 개국은 가라(금관가야)를 공격했고, 가라의 구원 요청으로 신라가 개입해 포상팔국은 패배했다. 이 사건은 가야연맹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해 전기가야연맹에서 후기가야연맹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포상팔국의 난 전개도
포상팔국의 난 전개도

 

2. 포상팔국의 명칭과 위치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포상팔국에 대해 언급하지만, 여덟 개국 중 명확한 국명은 다섯 개국만 전해진다.

  1. 골포국(骨浦國): 창원 마산합포구
  2. 칠포국(漆浦國): 함안 칠원면
  3. 고사포국(古史浦國) 또는 고자국(古自國): 고성 지역
  4. 사물국(史勿國): 사천 지역
  5. 보라국(保羅國): 전남 나주 발라(發羅) 또는 섬진강 하구의 문모라(汶慕羅) 섬

이 외에도 함안의 안라국(阿羅國)이 8개국 중 하나로 포함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전쟁의 배경

변한 12국은 낙랑군과 대방군과의 교역으로 부를 축적하며 성장했다. 그러나 3세기 초 후한이 붕괴하면서 중원의 정세가 급변했고, 변한의 소국들도 정치적 전략을 재정립하게 되었다.

 

 

당시 진한 지역사로국(斯盧國)이 신라로 발전하며 세력을 확장한 것처럼, 변한 지역에서도 각 소국들이 패권을 놓고 경쟁을 벌였다. 그 결과 경남 해안에 위치한 8개국이 가라(혹은 안라)를 공격하면서 포상팔국의 난이 발발했다.

 

4. 공격 대상 논쟁: 가라인가, 안라인가? (1차 전쟁)

포상팔국의 공격 대상은 가라(금관가야)인지 안라(아라가야)인지 논란이 있다.

  • 『삼국사기』 열전 물계자조: 포상팔국이 안라국(함안)을 공격했다고 기록함.
  • 『삼국사기』 신라본기: 포상팔국이 가라국(김해)을 공격했다고 전함.

이와 관련해 정약용은 『강역고(彊域考)』에서 물계자조의 ‘아라’를 ‘가라’의 오기로 보았다. 많은 학자들이 이를 지지하며 포상팔국의 공격 대상이 가라였다고 해석한다.

당시 금관가야는 낙동강 유역과 경남 해안의 교역을 장악한 강국이었으나, 중국의 정치적 혼란과 해상 교역의 축소로 가라의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포상팔국은 이를 기회로 삼아 금관가야의 교역권연맹 주도권을 빼앗으려 했다는 해석이 유력하다.

 

5. 전쟁의 전개: 3차에 걸친 전투

포상팔국의 난은 3차례에 걸쳐 발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1차 전쟁 (209년, 내해이사금 14년)

포상팔국이 가라(혹은 안라)를 공격하자, 가라는 신라에 구원을 요청했다. 신라는 왕손 내음(奈音)과 이벌찬 이음(利音)이 이끄는 군대로 구원에 나서 8국의 군대를 격퇴하고 6천 명의 포로를 잡아갔다.

2차 전쟁 (212년, 내해이사금 17년)

『삼국유사』에 따르면, 8국은 이번에는 신라의 변경 지역을 공격했다. 하지만 신라는 다시 승리해 포상팔국의 침략을 저지했다.

3차 전쟁 (215년, 내해이사금 20년)

포상팔국 중 골포국 등 3개국이 신라의 갈화성(현재 울산)을 공격했으나, 신라 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나가 이를 격퇴했다.

 

6. 전쟁의 결과와 영향

포상팔국의 패배와 몰락

연이은 침략 실패로 포상팔국의 세력은 약화되거나 주변국에 흡수되었다. 예를 들어:

  • 골포국: 탁순국으로 흡수
  • 고사포국: 고자국(古嵯國)으로 변경
  • 칠포국: 아라가야에 복속

가라와 안라의 변화

  1. 가라(금관가야) 패권 약화설
    전쟁에서 가라가 승리했음에도 신라의 지원을 받으면서 가야연맹 내 위상이 실추되었다. 가라는 신라에 왕자를 인질로 보내며 외교적 종속 관계에 놓였고, 결국 전기가야연맹의 주도권을 상실했다.
  2. 안라(아라가야) 성장설
    안라가 포상팔국의 침공을 막아내며 내륙 농경지대를 지키는 데 성공했다는 해석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안라는 주변 소국들을 흡수하며 후기가야연맹의 중심국으로 부상했다.

 

7. 가야사에서 포상팔국의 난의 의의

포상팔국의 난은 단순한 전쟁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 전쟁을 계기로 가야연맹 내 주도권해상 세력에서 내륙 농경 세력으로 전환되었다. 이는 전기가야연맹에서 후기가야연맹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가야와 신라의 관계도 변화했다. 전쟁 후 가야는 신라에 인질을 보내며 외교적으로 종속되었고, 신라의 영향력이 가야 지역으로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포상팔국의 난은 이렇게 가야 내부의 주도권 교체신라와의 관계 변화를 이끈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8. 결론

포상팔국의 난은 가야사의 중요한 분기점이었다. 이 전쟁을 통해 가야연맹의 주도권이 해안에서 내륙으로 옮겨갔고, 안라는 후기가야연맹의 중심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라(금관가야)는 신라와의 외교적 종속을 피할 수 없었고, 이는 가야 사회의 장기적 쇠퇴로 이어졌다.

이와 같은 변화는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지역 소국들이 생존을 모색하는 과정의 일부였다. 포상팔국의 난은 그들의 도전과 실패, 그리고 이후의 역사를 비추는 중요한 거울이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