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고구려의 왕성, 국내성(國內城)

지안 국내성(서북 모서리)
지안 국내성(서북 모서리)

 

1. 개요

국내성(國內城)은 중국 지린성(吉林省) 퉁화시(通化市) 지안(集安)에 위치한 고구려의 중심 왕성이다. 국내성은 고구려가 졸본에서 이주한 후 중기 도읍을 이루는 핵심적인 성으로, 환도산성(丸都山城)과 함께 중요한 방어와 행정 거점으로 사용되었다.

이 평지성은 방형의 석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 전체의 둘레는 약 2.74km에 달한다. 압록강과 통구하가 각각 남쪽과 서쪽을 흐르며 자연적인 방어선을 형성하고, 북쪽으로는 노령산맥이 방어벽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 덕분에 국내성은 외부 침략에 대비할 수 있는 천혜의 방어 요충지였다.

국내성

한때 고국원왕 시기인 342년에 돌로 성벽을 개축했다는 기록이 있었으나, 최근 발굴 조사를 통해 현존하는 석축 성벽이 4세기 초에 처음 축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2004년에는 고구려의 왕성 및 여러 무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국내성의 고고학적 조사

국내성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는 20세기 전반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14년 세키노 타다시(關野貞)의 보고에 따르면, 이 성은 당시 ‘통구성(通溝城)’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조사에 따르면 성벽의 폭은 약 9m, 높이는 6m 정도였으며, 성벽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42개의 치(雉)가 있었다. 북벽 외곽에는 해자가 남아 있었고, 이러한 성의 보존 상태가 양호했던 이유는 청나라가 만주 지역에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하는 봉금 정책을 시행했기 때문이다.

국내성

그러나 1921년 이후 지안현의 개발로 인해 성벽이 수리되며 본래의 구조가 상당 부분 변형되었고, 일제강점기와 현대 도시화 과정에서 동벽과 남벽의 일부가 소실되었다. 1960년대 이후 성벽은 더욱 훼손되었지만, 2000년대 들어 중국 정부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노력으로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다.

국내성의 성벽은 토심석축공법(土芯石築工法)을 활용해 쌓았다. 바깥면은 돌로 쌓고 내부는 흙으로 채운 이중 구조로, 기초부에는 점토를 여러 층 다져 넣었다. 성문은 북문 4개, 동문과 남문 각각 2개, 서문 1개가 발견되었다. 북벽 서쪽에 위치한 성문은 어긋문 구조를 채택해 공격 시 효율적인 방어를 가능하게 했다.

국내성

이와 함께 발굴된 기와와 누각의 흔적을 통해, 고구려 왕성과 건물들은 기와 지붕을 갖춘 건축 양식을 따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성 내부에서는 다양한 기와 건물지와 함께 동진(東晉)에서 제작된 청자도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4세기 초반부터 국내성이 본격적인 왕성으로 기능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3. 축조 시기를 둘러싼 논쟁

고구려가 졸본에서 국내로 천도한 시점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삼국사기』에서는 유리왕 22년(기원후 3년)에 "국내로 도읍을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는 "건안 연간(196~219년)에 고구려가 현재의 위치에 있었다"고 언급된다.

국내성

국내성이 실제로 언제부터 왕성으로 사용되었는지는 오랜 논란이 있었다. 1970년대 중반 성벽 발굴 당시, 석축 성벽 아래에서 고대 한(漢)나라의 유적으로 보이는 토성의 흔적이 발견되면서 국내성이 고구려 이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오해되었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진행된 발굴에서 기존의 토루가 점토다짐층으로 판명되면서 이 가설은 부정되었다.

 

국내성

최신 연구에 따르면, 국내성의 석축 성벽과 내부 유적은 모두 고구려 중기(4세기 초) 유물과 일치한다. 따라서 국내성은 고국원왕 12년(342년)의 기록과 일치하게 이 시기부터 본격적인 왕성으로 기능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4. 평양 천도 이후 국내성의 역할

고구려는 427년에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에도 국내성과 환도산성을 주요 거점으로 유지했다. 이로 인해 국내성은 도성의 지위는 상실했으나 여전히 행정과 군사적 중요성을 지녔다. 6세기경에는 환도산성행궁(行宮)이 설치된 것으로 보이며, 국내성 외곽에는 기와 건축물들이 계속해서 지어졌다.

환도산성
환도산성

이 시기 고구려는 국내성, 한성(漢城), 평양을 3경(京)으로 운영했으며, 압록강과 통구하를 통한 물자 수송로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발굴된 유물들 또한 평양 천도 이후에도 국내성이 적극 활용되었음을 증명한다. 하지만 당시 고구려의 중심이 평양으로 옮겨지면서 국내성은 예전만큼 선호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국내성

 

5. 결론

국내성은 고구려 중기부터 중요한 왕성으로 자리 잡아 환도산성과 함께 고구려의 도읍 역할을 수행했다. 압록강과 노령산맥을 배경으로 하는 이 지역은 천혜의 방어 요충지였으며, 이후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에도 고구려의 부도(副都)로서 기능을 유지했다.

현재 국내성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발굴 조사와 복원을 통해 고구려의 문화와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로 남아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