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신라 고분 출토 유리제품: 오색찬란한 빛깔의 향연

유리제잔
유리제잔

1. 유리의 기원과 구성 요소

유리는 기본적으로 산화규소(SiO₂, 실리카)융제(재, 내트론), 안정제(산화칼슘), 착색제(산화코발트)로 이루어집니다. 기원전 4,500년경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제작된 유리는 이후 대롱불기 기법이 개발되면서 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됩니다.

한국에는 기원전 2세기경 중국의 철기문화와 함께 유리가 전파되었고, 초기에는 납-바륨유리가 유행했습니다. 이후 2세기 무렵부터는 소다유리가 등장해 6세기까지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신라 유리제품은 대부분 구슬, 팔찌, 유리그릇 형태로 출토되며, 일부는 말띠 장식이나 귀걸이에 사용되었습니다.

 

2. 오색영롱한 빛, 유리구슬

유리구슬의 종류와 형태

신라 고분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유리구슬이 출토됩니다. 주로 푸른색 계열의 구슬이 많으며, 대롱불기 기법으로 제작된 소다유리가 주류를 이룹니다. 구슬은 하나의 개체로 제작되어 목걸이나 가슴걸이로 엮이기도 했으며, 연리문(連理文) 구슬과 같은 복잡한 장식 기법도 확인됩니다.

유리구슬의 종류

  • 상감유리구슬: 유리 안에 다른 색의 유리를 삽입하거나 금·은박을 넣은 중층 유리구슬
  • 연리문구슬: 여러 색의 유리막대를 교차하여 비틀어 표현한 구슬
  • 가슴걸이: 여러 줄의 구슬을 엮어 가슴과 어깨를 덮는 형태

경주 황남대총에서만 약 4만 점이 넘는 유리구슬이 출토되었으며, 이는 단일 무덤에서 발견된 유리구슬로는 최대치입니다. 신라 외에도 백제 무령왕릉에서는 약 30,700점의 유리구슬이 출토되었으며, 이 구슬들은 황남대총과 달리 주황색 계열이 많았습니다.

유리구슬의 풍화와 은화(銀化) 현상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유리구슬은 풍화되어 흰색으로 변하지만, 이때 생긴 얇은 피막이 빛을 반사해 무지개빛(은화 현상)을 띠기도 합니다.

 

3. 황금보다 귀한 유리그릇

신라에서는 유리그릇이 황금보다도 귀한 위신재(威信財)로 여겨졌습니다. 4 - 6세기 신라의 적석목곽분에서 출토된 유리그릇은 대체로 1 - 2점만 발견되며, 그중에서도 황남대총 남분에서 8점, 북분에서 5점이 한꺼번에 출토된 사례가 주목됩니다. 이처럼 한 무덤에서 다수의 유리그릇이 출토된 것은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신라 유리그릇의 종류와 디자인

  • 투명한 청록색 유리나 연녹색을 띠는 유리잔
  • 물결무늬그물무늬(網目文)가 새겨진 그릇
  • 봉황머리모양(鳳首形) 유리병: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대표적 유물
  • 청색 점무늬가 찍힌 잔: 경주와 가야의 무덤에서 동일한 형태로 발견됨

불교와 연관된 유리그릇도 등장하는데, 신라의 사찰과 탑의 사리기 안쪽에는 유리병이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칠곡 송림사에서 발견된 유리 사리기 세트는 유리병과 유리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리잔은 서아시아 유리 디자인과도 유사성을 보입니다.

 

4. 유리그릇 제작 기법과 특징

1) 코어 기법

초기에는 막대에 진흙이나 동물 배설물을 감싸 코어를 만든 뒤, 그 위에 유리액을 부어 그릇을 제작했습니다. 이후 코어를 제거하면 유리그릇이 완성됩니다.

2) 대롱불기 기법

로마 시대에 개발된 대롱불기 기법은 유리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대롱 끝에 유리액을 감고, 입으로 불어넣어 유리 덩어리를 풍선처럼 부풀린 후 형태를 잡는 방식입니다. 신라 유리그릇의 바닥에는 이 폰테(pontil) 흔적이 남아 있어 대롱불기 기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열수하법(熱垂下法)

유리판을 틀에 올려놓고 열을 가해 유리가 중력에 따라 아래로 늘어지게 해 그릇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기법은 그릇 형태가 일정한 반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5. 실크로드를 통한 유리의 확산

유리의 유입 경로

신라 유리그릇은 주로 실크로드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로마 유리(로만글라스)사산조 페르시아 유리가 대표적입니다. 초기에는 북방 초원길(草原路)을 통해 유리그릇이 신라에 들어왔고, 5세기 후반부터는 중앙아시아중국 북위를 거쳐 유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신라와 국제 교류의 흔적

황남대총의 유리잔은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의 유리 성분과 일치하며, 이는 신라가 국제적인 교역 네트워크의 일원임을 보여줍니다. 또한 경주 계림로 무덤에서 발견된 장식보검과 서아시아 계통의 물건들은 당시 신라가 국제 교류에 적극적이었다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경주 계림로 보검
경주 계림로 보검

 

결론: 오색찬란한 신라의 유리 예술

신라의 유리제품은 단순한 장신구를 넘어, 국제 교류와 문화적 풍요로움을 상징합니다. 특히 유리구슬유리그릇은 당시의 기술력과 예술적 감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입니다. 다양한 색채와 정교한 기법으로 만들어진 유리제품은 오늘날까지도 신라의 문화적 유산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