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양평 상자포리 고인돌과 한국식 동검문화

양평 상자포리 유적 출토 유물
양평 상자포리 유적 출토 유물

 

1. 개요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사이의 문화는 아직 명확한 명칭이 없다. 고고학에서는 '초기철기-원삼국'이라는 시대명을 사용하지만, 역사학에서는 '삼한'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철기시대, 고조선시대 등 다양한 명칭을 병용하기도 한다. 이 시대는 한반도 전역에서 다양한 문화적 변화가 발생한 시기로, 특히 무덤 양식과 유물에서 그 특징이 두드러진다.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상자포리는 한강과 인접한 지역으로, 이곳에서 발견된 고인돌 유적은 고대 한반도 거석문화의 중요한 유산 중 하나다. 팔당댐 건설로 인해 수몰된 이 지역에는 탁자식과 개석식 등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그중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이 발굴한 1호 고인돌에서는 한국식 동검과 함께 천하석으로 만든 곡옥이 출토되어 주목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고인돌에서는 비파형 동검이 발견되는데, 상자포리에서는 가늘고 날카로운 청동검이 확인되었다. 이는 대전 괴정동, 아산 남성리, 예산 동서리 등지의 널무덤에서 확인된 것과 유사하다. 양평에서 고인돌을 만든 사람들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2. 상자포리 유적의 발굴

1973년, 팔당댐 건설로 인해 수몰될 지역을 대상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단국대학교 박물관이 합동으로 발굴 조사를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20여 기의 고인돌이 발굴되었으나, 대부분 훼손된 상태였고 출토된 유물도 많지 않았다. 고인돌은 탁자식, 바둑판식, 개석식 등 다양한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무덤 주변에는 자갈을 깔아 무덤의 범위를 표시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초기 세형동검
초기 세형동검

 

이 중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이 발굴한 1호 고인돌에서는 초기 세형동검이라고 불리는 가늘고 긴 청동검이 발견되었고, 이는 초기철기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된다. 4호 고인돌에서 발견된 숯의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약 2170±20 B.P(Before Present)로, 이를 기원전으로 환산하면 약 기원전 220년 경에 해당한다. 이곳에서는 청동검 외에도 사람의 유골, 구멍무늬토기, 붉은간토기, 돌칼, 반달돌칼 등 다양한 청동기시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3. 한국식 청동기문화

상자포리에서 발견된 청동검은 초기철기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초기철기시대는 한국식 청동기문화가 성행하던 시기로, 이전 청동기시대와는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청동기시대의 비파형 동검은 중국 동북지방에서 한반도까지 걸친 넓은 지역에서 확인되며, 함께 출토되는 청동기들은 창, 도끼, 화살촉 등 종류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초기철기시대에는 대쪽 모양 청동기, 방패 모양 청동기, 나팔 모양 청동기, 가지방울 등 한반도 독자적인 청동기가 제작되었다.

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문화는 덧띠토기문화와 관련이 깊다. 덧띠토기문화는 한반도 서남부와 관련된 문화로, 점토띠를 아가리에 붙인 독특한 토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 평양 신성동 무덤에서 발견된 비파형 동검과 덧띠토기는 이 두 문화가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에는 한국식 청동기문화와 덧띠토기문화가 중국 동북지역에서 동시에 유입된 것으로 보았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 두 문화가 별도로 발전한 것으로 본다.

 

덧띠 토기
덧띠 토기

 

한국식 청동기문화는 성립기, 발전기, 쇠퇴기로 나뉜다. 성립기에는 한국식 청동검과 함께 거친 무늬 거울, 대쪽 모양 청동기, 방패 모양 청동기, 나팔 모양 청동기 등이 출토된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유적은 대전 괴정동, 아산 남성리, 예산 동서리 유적이다. 특히 예산 동서리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검은 비파형 동검과 형태가 유사해, 청동검의 변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발전기에는 새로운 무기 체계가 등장했다. 한국식 청동검 외에도 창과 꺾창이라는 무기가 출현하며, 거친 무늬 거울잔무늬 거울로 발전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유적은 부여 청송리, 화순 대곡리, 함평 초포리 유적이다. 잔무늬 거울은 정교한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당시 사람들에게 시간 또는 달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도구였을 가능성이 크다.

 

거친 무늬 거울
거친 무늬 거울
잔무늬 거울

 

쇠퇴기에는 한국식 청동검이 여전히 사용되었으나, 중국 한나라의 영향을 받은 청동 거울, 오수전 등의 유물들이 출토된다. 경주 조양동, 경산 양지리, 창원 다호리 등의 유적에서 이런 유물들이 확인된다.

 

오수전
오수전

 

4. 새로운 시대와 과거의 유산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농경 사회의 산물로, 마을 단위의 사회 조직이 이루어졌던 당시 사람들은 큰 돌을 옮겨 무덤을 만들고 그 크기를 과시했다. 이러한 고인돌 문화는 이후 더욱 복잡한 사회로 발전하며 점차 개인의 권력이 강화되었다. 초기철기시대에 들어서면서 무덤의 외형보다는 내부의 부장품이 더욱 중요해졌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국식 청동기문화는 철기시대가 시작되면서 점차 쇠퇴하였으나, 이 시기에도 고인돌에 새로운 유물이 부장되는 사례가 있었다. 예를 들어, 상자포리 고인돌에서는 과거 청동기시대의 유물과 새로운 초기철기시대의 유물이 함께 발견되었으며, 김해 내동 고인돌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확인되었다. 반대로 철기시대의 무덤에서 청동기시대 유물이 출토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지역 사회가 새로운 문화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결론

양평 상자포리 고인돌은 한국식 청동기문화와 초기철기시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유적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청동검은 한반도 고유의 철기문화 형성 과정을 보여주며, 그와 함께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은 당시 사람들의 생활과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발굴을 통해 상자포리 고인돌 유적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한국 고대 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밝혀 나갈 필요가 있다.

 

관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