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English Japanese

경당(扃堂): 고구려 청소년 교육기관의 역사와 의미

경당(扃堂)
경당(扃堂)

1. 경당의 개요

경당(扃堂)은 고구려 시대의 청소년 교육기관으로, 주로 미혼 청년들을 대상으로 운영되었습니다. 신라의 화랑도(花郞徒)와 비슷하게 청소년 조직을 재편해 설립된 경당은 왕도와 지방 주요 도시에 설치되었으며, 하급 귀족부터 상층민 자제까지 다양한 계층의 청년들이 이곳에서 학습했습니다. 경당의 교육은 단순히 학문에 그치지 않고 군사훈련을 병행하며 관료나 군인으로의 진출을 위한 준비 과정이었습니다.

경당은 삼국시대 고구려의 미성년 학교이다. 유교경전을 읽고 활쏘기를 연습하였다고 한다. 신라의 화랑도와 같이 청소년 연령집단에서 기원하였다. 고구려의 경당에 대해서는 『구당서』와 『신당서』에 기록되어 있다. 지방의 평민을 위한 교육기관이었다.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에 지방의 평민까지 군사로 동원하기 위해 건립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방의 평민까지 군사로 동원하는 체계가 정비되었다는 것을 반영한다.

2. 경당에 대한 기록

경당에 대한 중요한 기록은 중국 사서인 『구당서(舊唐書)』와 『신당서(新唐書)』에 남아 있습니다.

『구당서』의 기록

고구려에서는 책을 매우 좋아했고, 거리마다 경당이라는 교육시설을 세웠습니다. 이곳에서 미혼 자제들은 결혼할 때까지 독서와 활쏘기를 배웠습니다. 그들이 학습한 서적은 유학의 5경(經) 외에도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등 다양한 역사서와 『문선(文選)』과 같은 문학작품까지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고구려 사회가 학문을 중시했음을 보여줍니다.

『신당서』의 기록

『신당서』에는 고구려인이 배우기를 즐겼으며, 가난한 집안의 자제들까지도 경당에서 학문활쏘기를 배웠다고 전합니다. 이는 경당이 학문과 무예를 고루 교육한 기관이었음을 보여주며, 교육이 계층에 국한되지 않고 비교적 폭넓게 이루어졌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경당(扃堂)
경당(扃堂)

3. 경당의 설립 시기와 대상

경당의 구체적인 설립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고구려의 교육제도는 소수림왕(小獸林王, 재위: 371~384) 때 설립된 태학(太學)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태학이 중앙에서 상류층 자제를 교육하던 기관이었다면, 경당은 지방에서 운영되는 교육공동체로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학계에서는 광개토왕(廣開土王)장수왕(長壽王) 시기부터 국민개병제(國民皆兵制) 도입의 필요성에 따라 경당이 활성화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특히 장수왕 15년(427년)의 평양 천도 이후 경당의 설립과 운영이 본격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경당이 평민까지 수용했다고 전하는 기록도 있으나, 학문과 무예를 배우기 위해서는 일정한 경제적·사회적 여건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로 경당에 참여한 이들은 상층민 이상의 자제들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4. 경당에서의 교육 내용

경당에서는 유교 경전을 중심으로 한 독서 교육과 군사훈련을 동시에 진행했습니다. 유교 경전 학습은 고대 국가에서 충(忠), 효(孝), 신(信)과 같은 도덕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또한 『문선(文選)』과 같은 문학작품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문장 구사 능력을 배양하는 데에도 초점을 맞추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활쏘기와 군사훈련

경당에서의 활쏘기 교육은 단순한 체력단련을 넘어 군사훈련의 일환이었습니다. 활쏘기는 중국 주(周)나라 시기부터 육예(六藝)의 하나로 중시된 기술로, 고구려에서는 이를 통해 군사적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교육은 국가 방어와 전사 양성이라는 목적을 지녔으며, 경당이 단순한 학문 교육을 넘어 군사훈련소의 기능을 수행했음을 보여줍니다.

 

5. 경당의 두 가지 시각

경당의 역할과 성격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시각이 존재합니다.

  1. 지방 촌락 기반의 교육기관

경당을 지방 촌락에 설치된 평민 교육기관으로 보는 견해입니다. 이 관점에서는 경당의 출현이 국민개병제와 연결됩니다. 즉, 고구려 중앙정부가 지방의 평민층까지 군사로 동원하기 위해 청소년 조직을 재편하면서 경당을 통해 활쏘기와 같은 군사훈련을 실시했다고 봅니다.

  1. 도시 기반 상류층 교육기관

다른 견해는 경당이 왕도와 지방 주요 도시에 위치했으며 상류층 자제들을 대상으로 운영되었다고 이해합니다. 이 경우 경당은 단순한 군사훈련소가 아닌 하급 관료 및 무관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기능했다고 해석됩니다. 이는 고구려 사회가 발전하면서 지배층의 역할이 세분화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경당의 위치에 대한 논쟁

『구당서』와 『신당서』에서 경당이 세워진 곳을 ‘가구(街衢)’와 ‘구측(衢側)’으로 표현한 부분이 중요한 논점입니다. 이는 경당이 촌락이 아닌 일정 규모 이상의 도시나 대로변에 위치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경당은 왕도와 별도, 그리고 주요 지방 도시에 분포했을 가능성이 크며, 지방 중상위 계층의 자제들이 주로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6. 경당의 역사적 의의

고구려 초기의 청소년 조직은 전사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평양 천도 이후 경당에서는 유교 교육과 활쏘기 등 기본적인 군사훈련을 병행하면서 보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이는 고구려가 중앙집권적 귀족국가로 발전하는 과정과 맞물려 지배층의 정치적·사회적 역할이 세분화된 결과입니다.

고구려는 유교적 가치를 중심으로 사회를 재편했으며, 경당을 통해 군사와 학문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했습니다. 이러한 교육은 고구려의 강력한 국가 체제와 군사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7. 결론

경당은 고구려 청년들에게 학문과 무예를 교육하며 이들을 사회와 국가를 위한 인재로 양성한 중요한 교육기관이었습니다. 단순한 평민 교육기관이라는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 경당이 지방의 주요 도시에서 상층민 자제들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는 새로운 시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경당의 교육은 유교적 가치를 심어주는 동시에 군사훈련을 병행한 것이 특징이며, 이는 고구려가 지향한 국가 이상(理想)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이처럼 경당은 고구려 사회의 발전 과정과 함께 성장한 교육기관으로서, 당시의 정치·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며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관련글